공학교육인증 활성화를 가로막는 요인 중 하나는 인증을 받은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이 있다. 인증 프로그램 졸업생 취업률이 일반 학생 보다 높다. 일부 기업에서는 가산점이나 다른 우대를 받기는 한다.
하지만 일반 졸업생과 인증 프로그램 졸업생 간 차이가 크지 않다.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면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등 기업 상당수가 공학교육인증제 자체를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벤처기업협회 등과 잇달아 ‘공학교육인증제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내용은 각 단체 회원사를 대상으로 공학(기술)교육인증 졸업생을 채용할 경우 우대하도록 유도하고, 회원사가 필요로 하는 공학인력에 대한 의견을 반영해 공학인증 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다. 또 산업계가 원하는 실무교육을 과정에 포함하고, 이를 수료하면 가산점을 주는 방식도 채택했다.
백양현 중기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은 “우수한 인재 확보가 기업과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만큼 체계적인 전공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인력 충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대외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인사담당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공학교육인증원과 협약을 맺은 5월 이후 중소기업들에 인증제도를 홍보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아직 제도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기업과 학생 간 취업에 대한 눈높이 차이다. 우수 학생은 벤처나 중소기업으로 눈길을 돌리지 않는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도 실무 재교육이 필요하고, 입사 몇 년 후 대기업으로 이직해버리는 경우도 많다”며 “대학교육과 기업현장 간 좀 더 끈끈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
권건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