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점휴업 대학 기술지주회사 우후죽순

대학 기술지주회사가 30여개 이상으로 늘어났지만 개점휴업 상태의 부실 운영 사례도 속속 생겼다. 대학이 정부지원 예산을 따기 위해 명목상 회사만 설립해놓고 추가 투자나 관리를 하지 않아 부실운영을 초래하고 있다.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교육부 인가를 받은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는 총 31개다. 2009년 8개에서 네 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에만 8개 대학 기술지주회사가 새롭게 설립됐다. 자회사 숫자도 17개에서 145개까지 크게 증가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교육부 인가 당시에 최소한의 자본금으로만 설립하고 추가 증자를 하지 않아 자금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설립 초기 특성상 지속적인 투자나 지원이 없으면 성장이 어렵다. 자본이 부족한 기술지주회사는 자회사 증자 참여조차 어려워 지분이 희석되거나 경영권을 잃을 수도 있다. 전체 기술지주회사 중에 현금 자본이 5억원 미만인 경우가 3분의 1이 넘는 10여개에 이른다.

2009년에 현금 자본 1억6000만원으로 설립한 한 대학 기술지주회사는 설립 4년이 넘도록 현금 자본금이 겨우 1000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대학이 수십억원의 예산 지원이 걸린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사업단에 선정되기 위해 설립만 해놓고 제대로 운영하지 않은 결과다.

한 대학 관계자는 “현금 자본금이 1억∼2억원 수준이면 전담 직원을 한명 두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봐야하는데, 이대로는 대학 기술 기반의 초기 기업들을 위한 전문 회계, 경영, 마케팅, 투자 유치 같은 지원을 기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창업보육센터나 기술지주회사를 만들어놓고 산학연 생태계를 구성해놨다는 인상만 주기 위해 만들어놓은 셈”이라고 꼬집었다.

담당 부처인 교육부도 대학 기술지주회사의 관리·감독 임무를 소홀히 해 부실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왔다. 교욱부가 법인 설립 당시 대학이 약속한 재정 및 추가 지원이 이뤄지는 지 확인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2008년 대학기술지주회사 첫 출범 직후 단 차례의 평가도 이뤄지지 않았다.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협의회 측은 “대학 정원 감축 등으로 인해 추가 투자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현실”이라며 “잘 하는 곳은 지원을 더 하고, 제대로 운영되지 않은 기업은 퇴출되는 것이 산학연 선순환구조에도 바람직하기 때문에 교육부에도 관리 기능을 강화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대학 기술지주회사 증가 추이>


대학 기술지주회사 증가 추이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