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 10곳 가운데 8곳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활용 기술력도 주요 선진국 대비 2년 이상 뒤쳐진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81.6%가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활용한다는 기업은 7.5%에 그쳤다. ‘향후 활용 계획이 있다’는 답도 10.9%에 불과했다.
빅데이터 활용 분야(복수응답)는 마케팅(47.3%), 관리·운영(41.9%), 고객서비스(36.6%), 전략기획(24.7%), 연구·개발(20.4%) 순이었다.
기업들이 빅데이터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데이터 분석역량 및 경험부족(19.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시스템 구축비 등 예산부족(19.4%)’ ‘정보보호 및 안정성에 대한 우려(17.5%)’ ‘빅데이터에 준비되지 않은 기업문화(15.9%)’ ‘투자대비 수익 불투명(15.1%)’ ‘적합한 데이터 관리 솔루션 부재(12.5%)’ 등을 꼽았다.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활용 기술력이 선진국에 비해 수집관리 분야는 평균 2년, 연산처리는 3∼4년, 분석 분야는 2년 이상 뒤쳐진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이대로 가다가는 국내 빅데이터 시장이 외국 솔루션에 잠식당하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며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키워드로 ‘스피드(SPEED)’를 제안했다.
△가치 있는 공공데이터의 개방(share public data)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통한 중소기업 육성(promot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educate to train experts) △빅데이터 수요창출(endeavor to generate demand) △데이터 활용의 규제완화(deregulate)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외 빅데이터 도입 사례로는 미국 자동차회사 포드가 차량에 설치된 센서로 운전자의 주행습관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고객의 숨은 요구를 찾아내 신제품에 반영하는 것, 스페인 패션기업 자라가 빅데이터 분석으로 유행하는 패션 트렌드를 즉각 반영한 다품종 소량 생산전략으로 급성장한 것 등이 꼽힌다. 구글은 수억 건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50여개 언어 자동번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