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 총량 30% 제한...수요는 150만톤에서 81만톤으로 급감"

정부가 바이오매스 한 종류인 ‘우드펠릿’ 발전 총량을 규제할 것이라는 방침이 알려지면서 관련업계가 크게 반발했다. 정부가 우드펠릿 총량을 30%로 제한하다고 가정하면 수요는 올해 150만톤에서 절반가량이 감소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한국펠릿협회에 따르면 바이오매스 총량을 30%로 제한한다고 가정하면 우드펠릿 수요는 올해 수요 150만톤에서 내년 81만톤으로 급감한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처음부터 바이오매스 발전량을 제한한다는 계획이 나왔으면 이에 맞춰 사업 계획을 수립했을 것”이라며 “지난해 RPS 이행률이 67%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 바이오매스 비중은 6.6%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신재생공급 의무화제도(RPS) 시행으로 시장을 열어준 정부가 발전량을 제한하면서 우드펠릿 중개무역, 생산에 나선 기업은 벌써부터 물량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 대다수 종합상사와 중견무역 기업이 우드펠릿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 중개무역에 나선 상태고 일부 기업은 직접 연료 생산에도 뛰어 들었다.

해외 조림사업에 나선 기업도 30여개에 달한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기업의 해외 조림사업 면적은 31만ha다. 이 가운데 최근 5년간 약 13만4000ha가 조성됐는데 대다수가 목질계 바이오매스 공급용으로 추정된다. 한라, 코오롱글로벌, 대명건설, 계룡건설산업 등은 동남아시아에 우드펠릿 제조공장 건설을 발표했다.

연료전지와 형평성 문제도 논쟁거리로 등장했다. 연료전지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한다. 정부는 LNG를 사용하는 연료전지 발전량도 제한한다는 계획이었다. LNG도 화석연료니자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료전지 발전량은 제한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하면서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정부는 RPS 대응시 바이오매스발전량을 제한한다는 정책을 확정했다. 정부는 바이오매스 의존도가 높고 우드펠릿 등 연료 수입량이 늘어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바이오매스 혼합연소는 물론이고 전량연소까지 모두 발전량을 제한할 계획이다. 정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RPS 대응 신재생에너지원 가운데 바이오매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2.44%에서 지난해 15.35%로 대폭 늘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바이오매스 비중이 늘었고 이로 인해 우드펠릿처럼 해외에서 주로 생산하는 자원 수입도 늘었다”며 “화석연료 일종인 바이오매스 수입량 증가는 국내 신재생산업 육성이라는 RPS 취지와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바이오매스=목재과정에서 버려지는 나무와 톱밥과 같은 목재 폐기물을 말한다. 발전용 고체연료로 많이 쓰며 발전사는 이를 기존 화력 발전연료와 혼합하거나 100% 연소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석탄 등 기존 화석연료에 혼합할 수 있어 신규 투자가 크지 않고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도 있어 RPS 대응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