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증시활성화 대책에 업계 자구책 결합해야 `시너지`

[이슈분석]증시활성화 대책에 업계 자구책 결합해야 `시너지`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한 여러 대책이 순차적으로 도입 중에 있다. 시장 활성화는 증권회사의 수익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통상 증권시장이 활기를 띠면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늘어난다. 이는 곧 증권사의 수익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증권업계가 정부·유관기관의 증시 활성화 대책에 관심을 높이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선 정부는 내년부터 시장 가격제한폭을 현행 15%에서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주식거래중개(브로커리지) 1위 증권사인 키움증권 등을 수혜자로 꼽고 있다. 가격변동폭 확대가 투기적 성향의 투자자를 시장으로 끌어들여 거래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증권사 수익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예상도 적지 않다. 가격제한폭이 확대되었던 과거 네 차례의 경우를 보면, 확대 시행후 6개월 월평균거래 대금이 시행전보다 늘어난 경우는 두 번에 불과했다. KDB대우증권은 가격제한폭이 확대될 때마다 거래대금이 늘어난 것이 아니어서 가격제한폭이 거래대금에 영향을 줬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국거래소는 또 하반기부터 △기업배당 확대 △거래 활성화 방안 △우량기업 상장 유치 강화 등을 하반기에 순차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우리나라 기업이 상대적으로 낮은 배당을 책정하면서 외국인 투자자가 우리나라보다 해외 증시를 더 선호하는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고가 종목에 대한 액면분할을 유도하는 것이나 시간외거래 매매체결 주기를 기존 30분에서 10분으로 단축하는 것도 거래를 늘릴 수단으로 꼽힌다. 기업공개(IPO) 확대는 시장 활성화는 물론 증권사의 주간사 수익을 올려줄 수단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제도 개선이 전체 증권업계의 수익성을 단번에 개선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많지 않다. 다만, 제도 변화를 잘 읽고 적절히 대응하는 개별 증권사의 실적 개선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점쳐진다.

증권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증권업계의 전반적 수익성이 낮아진 데는 업계가 차별화되지 않은 영업방식으로 같은 상품을 팔면서 수수료 경쟁만 해왔기 때문”이라며 “제도 개선 자체보다는 각 증권사들이 특화된 사업영역을 발굴하고 자산관리분야에서 충성도 높은 고객을 최대한 늘리는 등의 노력이 더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