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해외는 지금 핀테크(fintech)에 지갑을 연다...투자규모 200% 급증

지난해 전 세계 핀테크 열풍은 30억달러에 달하는 투자 규모로 이어졌다.

핀테크기업에 대한 투자는 1년 새 200% 가까이 급증했다. 연평균 투자증가율은 31%로 전체 벤처기업에 대한 연평균 투자증가율 7%를 크게 상회한다. 그야말로 ‘핀테크’ 전성시대다.

왼쪽이 기업투자 추이, 오른쪽이 지역별 투자증가율
왼쪽이 기업투자 추이, 오른쪽이 지역별 투자증가율

해외에서는 애플과 구글이 금융에 진출했고 핀테크 전문기업을 육성하거나 우군으로 만들기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이 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핀테크 기업 육성에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에 이어 영국이 새로운 핀테크 요람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미국 실리콘밸리가 핀테크의 거점으로 불렸다. 투자규모만 9억달러가 넘었고, 핀테크기업에 대한 투자액도 전세계 투자액의 32%를 차지할 정도였다.

하지만 영국과 아일랜드가 핀테크 투자를 대폭 늘리면서 상황은 역전됐다. 무엇보다 정부 지원이 앞서있다는 평가다.

영국 정부는 핀테크기업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전문 인큐베이터와 액셀러레이터를 설립했다. 이미 설립된 핀테크 기업은 초기투자, 행정, 법률자문, 외부 투자자 유치 등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금융과 관련된 핀테크 기업 기술개발을 위해 금융테크혁신연구소를 설립하고 꾸준한 후원을 하고 있다. 금융테크혁신연구소는 성장성 높은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자금조달과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방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그룹, 도이치뱅크 등 내로라하는 대형은행이 후원기관으로 참여해 핀테크 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종잣돈부터 상용화까지 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이 가동되는 것이다.

영국 내 관련 액셀러레이터만 50개가 넘는다. 양적 지원 외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정책 지원이다. 영국은 특히 우리나라 핀테크 확장을 가로막는 요소인 ‘규제 완화’에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다는 것이 다르다.

금융업무감독청(FCA)은 핀테크기업 육성을 위해 규제 관련 자문서비스를 선보였고, P2P 대출에 ISA 계좌(이자/소득에 비과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지분형 크라우드 펀딩 모델을 승인했다.

결제 인프라 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결제방식 확산에 대비하기 위해 ‘페이먼트 시스템 레귤레이터’를 설립하기도 했다. 영국 결제위원회를 주축으로 전화번호를 통한 지급결제 서비스 페이엠(PayM)서비스를 가동 중이다.

이 밖에도 테크시티와 같은 벤처 단지 조성으로 핀테크 기업의 창업과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최소 자본금 규정을 폐지하는 등 창업절차를 간소화하고 사무실과 임대료를 런던 중심가의 5분의 1 수준으로 책정하는 등 체계적인 지원 생태계를 조성했다.

한국은 카카오, 비바 리퍼블리카 등 주요 IT업체가 핀테크로 분류되지만 은행과 연계한 부분적인 서비스 구축에만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영국과 같이 창업부터 기술지원, 정책 지원 삼박자가 융합돼야만 진정한 핀테크 기업이 탄생하고,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고 제언하고 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