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급부상하는 3D프린팅 산업을 성장동력화하려면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3차원(3D)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래야 3D프린팅 시장 활성화와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모델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6일 ‘3D데이터 구축의 중요성 및 국가DB로서의 가치’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세계적으로 3D프린터 보급과 활용이 가속화되면서 세계 각국은 3D프린터 시장·산업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보고서는 3D프린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3D데이터 DB 구축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DB가 구축되면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하듯 소비자가 3D프린팅에 필요한 콘텐츠를 DB에서 검색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단종된 물건도 3D데이터로 구축하면 언제든지 3D로 프린팅할 수 있다.
유일하게 존재하는 사물의 기록과 보존을 위해서도 3D데이터 구축은 필요하다. 문화유산이나 지역·안전·보안 등 이유로 일반인 접근이 어려운 사물이나 지역을 3D데이터로 구축해서 보관할 수 있다.
보고서는 3D데이터 구축 대상을 보존·접근·활용 가치 측면 등으로 분류했다. 보존가치 측면에서는 훼손되면 대체할 수 없는 화석·유물·유적 등 문화재가 해당한다. 접근가치에서는 접근이 어려운 우주공간, 신체 내부조직, 극한지역 등이 대상이다. 활용가치에서는 산업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 정보가 해당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이 같은 3D데이터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비영리단체 사이아크는 세계 500개 유적지를 3D데이터로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스미소니언박물관은 1억 3700만여점 전시품을 3D DB로 구축하고 있다.
진흥원은 관계자는 “사용자 관점에서 개인화·맞춤형·위치기반·실시간 특성을 준수하고 필요한 정보를 개별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DB로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진흥원은 또 프린팅 할 3D데이터가 다양하게 유통되는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스캔한 3D데이터의 저작권과 DB의 공개 수준과 기준도 마련해야 한다. 3D데이터 활용과 2차 저작, 재활용을 위한 저작권 기준을 마련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저작권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토록 허용, 상업적 활용을 도모하자는 복안이다.
특히 국가가 구축한 3D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자체 서비스뿐만 아니라 민간DB와 관련된 서비스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통 파일 포맷 기준을 정해 3D데이터 DB를 구축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 컨설팅업체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3D프린팅 시장규모는 지난 2012년 22억달러에서 오는 2021년 108억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