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빅데이터로 버스 노선 조정 등 이용자 중심 교통정책 수립

서울시가 산재된 교통·사회경제 데이터를 분석해 수요에 맞는 시내버스 노선 조정 등 이용자 중심의 교통정책 수립에 나선다. 단계적으로 택시 승차장 설치와 공영주차장 건립 정책 등에도 확대 적용해 대중교통 이용자 불편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각종 교통관리시스템에서 산출되는 데이터와 교통카드 데이터, 인구 등 사회경제 데이터를 융합, 분석해 교통정책에 반영하는 교통정책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내년 3분기까지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2016년부터 시스템 구축에 착수한다. 교통정책에 각종 데이터를 적용하는 시기는 이르면 2016년 하반기나 2017년부터다.

기존 시내버스 노선조정 등 대중교통 정책은 교통시설과 수요 현황을 기준으로 수립하지만 인구통계와 고용자수 등 사회경제 지표를 반영하지 못해 실제 수요를 맞추지 못했다. 특정 지역에서 출퇴근 시 상시 발생되는 만원버스나 승객이 한명도 없는 유령버스가 대표적이다. 택시 이용자가 많은데도 승차장이 없거나 공영주차장 배치가 비효율적인 곳도 많다.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스마트카드와 서울시가 개별 관리하던 교통 데이터를 통합한다. 한국스마트카드의 교통카드 정보시스템에서 산출되는 △노선·정류소·역별 승하차 인원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의 환승 현황 △버스 차량번호 등 기반정보와 서울시가 보유한 버스단말기의 △노선형상·정류소 위치 등 기반정보 △버스 위치 등 실시간 운행정보를 융합한다.

통계청과 서울시정의 인구 통계, 고용자 수 등 사회경제 지표와 도시계획 정보도 연계한다. 통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교통정책지원시스템도 구축한다. 교통정책지원포털로 정책결정권자와 업무담당자에게 실시간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시내버스 적용에 이어 택시 이용자가 많은 지역을 찾아 승차장 신설, 차량 이용이 복잡한 도심 인접 지역에 공영주차장 건립, 교통 흐름에 맞는 신호체계 개편 등 다양한 교통정책에 적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ISP 결과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과거 심야버스 신설 때처럼 노선버스 조정 등 시내버스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ISP 결과 기반으로 적용 분야를 점차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