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만성질환자 100만명을 대상으로 9년간 입원·외래 등 장기 추적 검사 데이터와 한파·폭염 등 이상기후 데이터를 융합, 빅데이터 분석으로 전국 질병지도를 만든다.
전국 보건소는 질병지도에 기반을 두고 지역 환경변화에 맞게 주민이 만성질환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환경보건 정책이 정부차원 중앙 중심에서 처음으로 지역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
환경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만성질환 추적조사 데이터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와 국민건강정보DB, 온난화와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DB를 융합,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지역별 질병지도와 위해지도를 만든다고 17일 밝혔다.
환경변화에 따른 급성질환을 분석한 적은 있지만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조사 DB 기반 환경 영향을 조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2002~2010년 실시한 만성질환자 100만명의 입원·외래자료·약국이용내역 등 코호트 DB가 사용된다. 2001~2013년 4만9000명의 진료명세서·진료·상병·처방전 등 내역DB도 활용된다. 폭염·한파 등 이상기후와 대기오염농도, 대기오염 배출량, 생태자료 등 환경DB도 쓰인다. 기후변화나 환경 요인에 따른 환경성·심혈관계질환을 시간·공간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이 완료되면 2002년부터 2010년까지 9년간 1년 단위로 기후·환경 변화의 위해요소를 나타내는 위해지도와 질병발생 현황을 나타내는 질병지도를 만든다. 2016년에는 위해지도와 질병지도를 전국 보건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시스템도 구축한다.
보건소는 환경 변화에 따른 아토피·천식·알레르기비염 등 환경성질환과 뇌졸중·고혈압·급성심부전 등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 대책을 마련한다. 지역주민 대상으로 환경변화를 예측, 사전에 만성질환을 경고할 수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보건 정책이 정부의 중앙중심 체계로 이뤄져 왔으나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을 두고 질병지도와 위해지도를 만들면 보다 실효성 높은 맞춤형 지역중심의 환경보건 정책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