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물인터넷실증사업추진단과 실증센터, 실증단지를 중심으로 실증사업에 나선 것은 태동기인 사물인터넷(IoT) 시장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됐다. 동시에 기술력은 있지만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과 동반성장으로 산업을 활성화한다는 포석도 깔렸다.
시장조사업체 마키나리서치에 따르면 IoT 시장은 2013년 2000억달러에서 연평균 26% 성장해 2020년 1조달러(약 112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1%에 불과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다.
가트너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 수가 2020년 260억개로 늘어난다고 내다봤다. 센서로 수집된 정보는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통합돼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분석되고 의사결정을 위한 통찰력 정보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됐다. IoT가 관련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이 그만큼 커질 것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지난해 국내 IoT 시장은 2조3000억원 규모로 세계 시장의 1%에 불과하다. 소규모 업체들이 전자태그(RFID),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사물지능통신(M2M) 등 관련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글로벌 역량과 원천기술 부족, 협소한 내수시장 등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5월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시장 확대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지난달 폐막한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서는 한국 주도로 ‘사물인터넷 활성화 의제’가 채택되면서 세계 시장 정책 주도권을 잡는 데 성공했다. 실증사업은 기술 분야에서도 내실을 다져 실질적인 선도국으로 발돋움하는 초석이 될 전망이다.
특히 대기업과 통신사뿐만 아니라 중소·벤처기업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중소기업은 실증단지에서 IoT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검증할 수 있다.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제품은 체계적인 지원을 받아 해외 고객사로 수출 기회도 잡을 수 있다.
IoT 플랫폼 전문업체 달리웍스 이순호 대표는 “고객은 중소기업 제품을 바로 구매해 쓰기를 꺼려하는데 정부 실증 사업에서 검증을 받고 상용화로 이어지면 마케팅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이라며 “단순 과제 형태에 그치지만 않는다면 중소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1%에 불과한 세계 시장 점유율을 5%대로 높이고 세계 1등 제품을 20종(현재 0종)으로 늘린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1년 7개월인 세계 시장과 기술 격차를 좁혀 기술경쟁력 1위 국가로 올라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선 대기업과 통신사, 중소기업, 정부, 대학, 연구소 등 산학연관 협력이 필수다.
미래부 관계자는 “현재 국내 헬스케어나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많은 벤처기업이 활동하고 있는데 최대한 많은 업체가 실증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창조경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의적 제품이 개발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 자료:미래부>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