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활용해 재난대응 강화

최근 세계적으로 대형 재난 발생이 증가하면서 선진국은 재난을 과학적으로 예측·예방하고 재난 발생 시에 신속한 구난·복구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학기술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

16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미래부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과학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재난 대응’ 방안은 우리의 강점인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재난 대응을 고도화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과 ICT를 우리 사회가 풀기 어려운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 문제 해결사’로 내세우고 재난안전산업을 육성, 현재 6조원 수준의 매출액을 2017년까지 12조원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재난안전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장기적 포석도 이번 방안에 담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예방대비단계에서는 △안전진단센서를 활용한 재난 사전 방지 △지능형 CCTV를 통한 초동대처 △재난 유형별 맞춤형 시뮬레이션 개발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여기에 현장 대응복구를 위해 첨단 구난장비 연구성과 실용화로 사고 발생 시 골든타임을 사수하는 등 4개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지하매설물·교량·터널 등 주요 국가기반시설 중 30년 이상 노후시설이 2014년 현재 9.6%에서 2024년 21.5%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산업연구원)된 만큼 실시간 계측과 모니터링하는 안전진단센서시스템 설치를 확대해 재난발생을 사전 방지할 방침이다.

폐쇄회로TV(CCTV)의 활용폭도 넓힌다. 단순 영상정보만 제공하는 CCTV통합시스템에서 재난 자동감지가 가능한 지능형 CCTV 활용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2016년 주요 하천과 해안에 지능형 CCTV 구축을 완료해 홍수와 해양사고 피해의 최소화에도 나선다.

아울러 맞춤형 재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로 재해예측 정확도를 2013년 50% 수준에서 2017년까지 70%로 높인다. 재난 복구단계에서는 재난용 무인기, 재난안전 로봇, 현장 지원 특수차량, 개인방호 스마트 장비 등 첨단 구난 장비를 2017년까지 재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재난안전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글로벌화도 추진한다. 조선 자동차 등 국내 강점산업에 안전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출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정부연구개발 투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원천기술 개발 지원으로 2012년 현재 선진국 대비 72%인 기술경쟁력을 2017년 80%로 끌어올린다.

3년 내 매출액 500억원 이상의 강소기업 30개를 육성하고 2012년 6조원인 국내 재난안전산업 매출액 규모를 2017년까지 12조원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대기업의 시스템과 중소기업의 부품의 해외시장 동반진출도 추진한다.

이날 자문회의에서는 ‘과학기술을 활용한 농업 분야 혁신 방안’도 보고됐다. 정부는 2017년까지 시설원예·축산에서 자동개폐와 온·습도 자동관리 등이 가능한 한국형 ‘스마트팜’ 시스템을 농가 8000곳에 보급할 계획이다. 또 밭작물 농기계 실용화에도 속도를 높이고, 가축분뇨나 볏단 등 농산 부산물을 친환경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