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세대 데이터센터 제3정부통합전산센터(이하 제3센터) 입지가 대구로 확정됨에 따라 지역에서는 ICT산업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호기를 맞았다는 분위기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제3센터의 자원을 공공기관에 오픈해 낭비를 줄여야 하고, IT인력 블랙홀이 돼 인력난을 심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제3센터는 대구시 동구 도학동 공무원교육원 예정부지에 8만1456㎡(약 2만5000평) 규모로 들어선다. 총 사업비는 3600억원이 소요된다. 내년에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18년 말 완공 예정이다.
◇제3센터 대구 유치 효과
대구는 제3센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생산유발효과 7074억원, 부가가치유발 2008억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고용유발효과는 4269명 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제3센터 내 상주인력으로 600명이 근무하면 가족을 포함해 총 4000여명의 인구유입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게다가 전체 사업비중 건축비를 제외한 1000억원가량은 IT분야 발주가 예상돼 지역 IT기업에 호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제3센터는 지역에서 추진 중인 SW융합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 경북도청 이전 터에 조성할 연암드림밸리 조성사업과 연계돼 지역 ICT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와 대전, 광주를 연결하는 국가과학기술 및 데이터 삼각벨트가 구축돼 ICT기반 창조경제 생태계를 완성하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
전시현 대구시 정보화담당관은 “제3센터는 구축뒤 연간 1200억원 가량의 유지보수사업 발주가 이뤄질 것으로 보여 지역 ICT산업에 엄청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특히 클라우드 방식으로 구축되는 만큼 정보보호 관련 신규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산자원 공유와 인력유출 없어야
제3센터 부지선정위원회는 제3센터를 구축하면 각 부처 시스템 개별 구축 및 운영 대비 향후 10년간 1조8814억원의 편익이 발생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제3센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산센터 자원을 공공기관에 오픈하고, 신규 일자리를 늘리는 면밀한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학계에서는 제3센터 건립 이후 필요한 인력에 대해 사전에 맞춤형 인재 양성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정삼 영남이공대 사이버보안과 교수는 “제3센터 건립이 정보보안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의 IT 인력을 필요로 할 것”이라며 “대학 등 인력양성기관은 이에 대비해 맞춤형 인력양성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IT업계는 제3센터 유치를 반기면서도 자사 인력이 빠져나가지 않을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서미숙 에스엠에스 대표는 “제3센터 구축과정에서 지역 IT기업 참여가 예상돼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하지만 향후 지역 IT인력을 흡수해 가뜩이나 사람구하기 힘든 지역 IT기업에 인력난을 가중시키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대구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은 향후 제3센터를 공공기관에 이전해 국가 자원의 낭비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지역 이전공공기관은 개별적으로 전산센터를 운영 중이다.
장익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정보기반본부장은 “신규로 구축하기 위해 현재 설계단계에 접어든 나이스 백업센터와 같은 전산센터는 제3센터를 활용하게 해 국가적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방법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