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스마트기기산업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으려면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할까. 스마트 자동차에서는 어떤 기술을 확보해야 성공할 수 있을까. 해답은 플렉시블 부품(반도체, 디스플레이 등)과 무선충전 기술, 사용자 안전성 등에 대한 국제표준 선점이다. 스마트 자동차는 자율주행과 지능형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연결성 확보 등이 핵심 과제로 꼽혔다.
1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은 민간 국가표준코디네이터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미래신성장 7대 산업의 표준기반 R&D 추진전략’을 최근 확정했다.
미래 성장성과 우리나라 역량을 고려해 7가지 유망 미래산업을 선정하고 분야별로 필요한 요소기술도 뽑았다.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표준화 전략까지 함께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분야는 플렉시블·투명 디스플레이와 유연성을 확보한 배터리 등 핵심 부품 확보가 주요 과제로 꼽혔다. 국표원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아직까지 별도 국제표준이 없는 웨어러블 기기 국제 표준화 기술위원회를 선제적으로 제안하기로 했다.
차세대 컴퓨팅은 소프트웨어 기술에서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기반 미래형 클라우드·빅데이터’ 전략적 연구개발을 강조했다. 사물인터넷(IoT)에서는 분야별 R&D보다는 ‘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보안-서비스’에 이르는 통합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스마트 자동차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센서·통신기술 개발과 함께 도로교통 법령정비와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험방식 표준화가 핵심 과제로 꼽혔다.
첨단 소재는 자체로도 큰 산업이지만 다른 산업 성장을 촉발할 분야다. 모든 분야에 대응할 수 없는 만큼 탄소섬유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미래수요가 큰 분야에 집중적으로 R&D 자원을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스마트 의료기술도 우리나라 강점을 살려야 할 분야로 꼽혔다. 전자적 건강기록과 모바일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신산업을 창출할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스마트 의료기술은 법·규제 정비와 안전성 표준 확보 등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
스마트그리드는 원격검침과 에너지저장장치(ESS)·전기차 충전인프라 기술 보강과 지능형 발전시스템, 유연 송전시스템 등의 통합적 고도화가 주문됐다. 이 과정에서 신뢰성 확보와 테스트, 토털 시스템 표준화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공급망관리(SCM)에서는 지능형·친환경 물류 시스템이 키워드다. IT 기반의 자동 물류시스템과 기록 전산화, 탄소발생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기술이 집중할 분야로 손꼽혔다. IoT와 연계한 물류 고도화도 중요 과제로 제시됐다.
정부는 전략적 R&D와 표준화를 동시에 추진하면서 미래 성장산업을 주도할 방침이다. R&D 재원을 무한정 늘릴 수 없는 만큼 가능성 있고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전문가 그룹을 가동해 차세대 먹거리가 될 유망 산업을 선정하고 표준에 기반을 둔 주요 연구개발 방향의 큰 그림까지 담았다”며 “이 전략은 부처별 사업과 연계해 실제 연구개발과 사업화가 추진될 예정으로 기업체에는 미래산업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