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무크 사업 첫 발, "대학 자율 환영, 청사진은 부족"

교육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무크(MOOC:온라인대중공개수업) 시범사업의 가이드라인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교육부는 지난주 2015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시범운영 사업 계획을 지난주 공고했다. K무크는 열린 고등교육 체제를 통한 대학 교육 혁신 및 평생 학습 기반 조성을 위한 사업으로 미래 대학 체질을 바꿀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 K무크 시범사업에 참여할 대학으로 10개 대학을 선정하고, 대학당 교과목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신규 콘텐츠 개발·운영을 맡긴다. 학교당 1억원의 예산이 지원될 예정이다. 대학 자체적으로 무크 운영계획을 세워 콘텐츠 및 강좌 운영계획을 제출하면 이를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평가하는 방식이다. 계획의 대부분을 대학 자율에 맡겼다.

관련 전문가들은 일단 대학 자율에 맡긴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반겼다. 국내 최초 글로벌 무크 플랫폼을 운영하는 김형률 숙명여대 역사문화학과 교수는 “무크의 핵심은 연결성이다. 100여개국 학생과 소통하는 것을 생각해 사이트를 구축해야 하는데 기존 글로벌 무크 사이트와 연계는 필수적”이라며 “해외 무크 사이트에 참여한 경험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공계대학생 대상 MOOC 서비스를 시작한 김규태 고려대 전기전자전파학과 교수도 “기존 온라인 강좌가 세세한 수업 시간 설정 등으로 가이드라인이 오히려 규제로 작용하는 것을 보면 큰 틀에서 바람직한 모습”이라며 “1억원의 예산이 적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는 과제가 아니며 대학 스스로 무크에 대한 투자방안이나 운영계획을 미래를 내다보고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해외 무크가 대학이나 교육기관 차원의 혁신에서 출발한만큼 국내 대학도 학사 개정을 비롯한 무크 시스템 운영을 위한 장기 비전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에서는 참여 자격을 일부 종합대학에만 한정시킨 것과 자체적인 학습관리시스템(LMS)구축 여부의 미정, 정부의 향후 투자계획 등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해외 무크 사이트의 경우 초기 무료 공개강좌 및 학점 인정체계 운영을 위해 벤처캐피털 등으로부터 수백억원대의 막대한 자금이 투자됐다.

김형률 교수는 “이미 글로벌 스탠더드는 특정 국가나 대학에서만 쓰는 LMS시스템이 아니라 널리 호환되는 글로벌 플랫폼을 가져와 활용하는 열린 정책이 필요하다”며 “앞서 오픈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일본의 ‘J무크’ 등도 반면교사 삼아 콘텐츠와 시스템을 두루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2015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참여대학 선정 평가지표>


※2015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참여대학 선정 평가지표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