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세계 최초로 64MD램을 개발한 이후 줄곧 시장을 선도해 온 ‘메모리 반도체 강국 코리아’에 비상이 걸렸다. 그 발원지는 중국이다. 우려했던 것보다 더 빨리 현실로 다가왔다. 막대한 투자를 동반하는 장치산업 특성상, D램 시장은 한국 독주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차이나 리스크’는 D램 산업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D램 최대 소비국인 중국 정부가 앞장서 ‘자체 생산, 자체 소비’를 내세우며 우리 메모리 소자업계를 긴장으로 몰아넣는다.
정부까지 나선 중국 움직임은 상상을 초월한다. 정부를 구심점으로 펀드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중국 서밋뷰캐피털컨소시엄은 최근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메모리 설계기업 ISSI를 약 7000억원에 인수했다. 공식적인 표명은 없지만, 전문가들은 중국이 파운드리 중심에서 D램 자체 설계·생산으로 산업 체질을 바꾸기 위한 포석으로 본다. 이미 중국 정부는 지난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1200억위안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우리가 그랬듯이 중국 또한 메모리반도체 산업 육성 과정에서 많은 난관에 부딪힐 것은 분명하다. 신뢰성을 확보해 시장을 잠식해 가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시황에 민감한 메모리 반도체 산업 구조로 볼 때 연착륙도 장담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분명한 것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중국발 지각변동’이 잠재했다는 사실이다.
메모리반도체 산업 주도권은 미국과 유럽,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넘어왔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선발국의 강한 견제를 이겨내야 했다. 그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체득하기 위해 해외 반도체 소자·장비·소재 업체 등과 때로는 불평등한 계약도 감내했다. 많은 학습 비용을 지불했다.
‘차이나 리스크’가 세트에서 메모리 핵심 고부가가치 부품으로 확산된다. 우리에겐 리스크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 중국 메모리반도체 시장 진출은 기정사실이다.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최대한 길게 유지하면서 우리가 앞선 유관 산업에서 실리를 챙기는 게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