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UNIST가 원전 해체용 로봇산업을 육성한다.
15일 UNIST(총장 조무제)가 마련한 ‘UNIST 원전 해체 융합기술 국제 워크숍’에서 염영일 UNIST 기계 및 원자력공학부 명예교수는 “울산에는 사용처인 원전이 있고 이미 여러 산업 현장에서 로봇을 활발하게 사용한다”며 “산학관이 힘을 모으면 울산을 원전 해체용 로봇 기술의 세계적 메카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염 교수는 ‘원전 해체를 위한 로봇’을 주제로 기존 로봇 기술을 원전 해체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원전 해체 기술은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는 ‘제염’과 원자로 시설을 분해하는 ‘절단’, 방사성 폐기물 ‘처리’, 원전 해체 후 ‘환경 복원’으로 구분한다. 이 중 ‘절단’은 방사선 피폭 위험 때문에 반드시 로봇을 활용해야 하는 분야다.
염 교수는 “원전 해체에 필요한 로봇은 까다로운 조건 속에서 원격 정밀 조종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만족할 만한 원전 해체용 로봇은 나오지 않은 상태”라 진단 후 “울산의 원전 시설과 산업 인프라에 지금까지 나온 각종 로봇 기술을 응용하면 우리가 원하는 원전 해체용 로봇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울산 지역은 원전 해체 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관이 전 방위로 뛰고 있다.
울산시는 최근 ‘울산 원전 해체기술 연구협회’를 출범했고, 이어 ‘원전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UNIST는 ‘원전 해체 융합기술 연구센터’를 운영 중이다. 정무영 UNIST 연구부총장은 “UNIST 원전 해체 융합기술 연구센터는 원전 해체용 로봇 기술은 물론, 원전 해체에 필요한 각종 첨단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를 산업체로 이전해 원전 해체 융합기술의 글로벌 허브 UNIST를 만들어 갈 것”이라 말했다.
이날 레디 피터슨 퍼시픽 노스트웨스트 국립연구소(PNNL) 팀장은 미국 워싱턴 주 핸포드 원전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서 PNNL이 제공한 기술 사례를 소개했다.
김창락 한전 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해체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관리, 처분 및 비용 문제를, 김용수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세계 노후 원전의 폐로 현황과 우리나라의 효과적 대응 전략을 각각 발표했다.
이태성 울산시 경제부시장은 “울산의 원전 시설과 산업체, 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융복합 기술을 개발하면 원전 해체 로봇 개발 등 시너지가 클 것”이라며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세계적 기술을 공유해 울산을 원전 해체 로봇 중심으로 만들자”고 말했다.
한편, 전 세계 해체 대상 원자로는 약 120기에 이른다. 원전 해체 시장은 IAEA 추산 2030년 500조 원, 2050년 1000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