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88억원 짜리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개인별 맞춤의학 시대 열린다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 과제를 수행 중인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 과제를 수행 중인 생명공학연구원.

정부가 5788억원을 투입해 2021년까지 한국형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를 구축한다.

국민 누구나 자신의 유전체 정보를 이동저장장치(USB)에 담아 진료에 활용하는 ‘개인 맞춤형 의료’ 시대가 열린다. 2023년 200조원 규모로 급성장하는 유전체 시장도 선점한다.

정부는 ‘포스트 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을 2021년까지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보건복지부·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산업통상자원부 다섯 부처가 참여한다. 다부처 유전체 사업은 지난 2012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 지난해 공동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부처별 과제 수행이 시작됐다.

대표 사업은 한국인 중심 단백체 및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것이다. 현 유전체 정보는 대부분 미국이나 유럽인 중심으로 이뤄졌다. 유전체 정보 분석이 이뤄져도 한국인에게 맞는 적절한 판단을 내리는 데 한계가 있다.

미래부 유전체 정보분석 공동연구 기반 구축 사업은 유전체 자원 통합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게 핵심이다. 유전체 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한 국민·연구계·산업계 등 수요자 중심 유전체 분석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한다. 유전체 데이터 등록과 보존·활용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해 고급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전체 미래 원천기술도 개발한다. 생명현상과 시스템 생명정보 기반 핵심 원천기술과 다중 오믹스 신기술이 대표적이다.

복지부는 한국인 유전체 연구자원 정보생산과 활용을 담당한다. 한국인 코호트 기반 유전체 질병연구 자원을 확보해 정보생산, 역학분석, 변이칩과 정보표준화를 수행한다. 임상·오믹스 연구데이터 등록과 분양시스템도 구축, 운영한다. 인간 유전체 연구정보·자원 통합 데이터베이스(DB)와 포털도 마련한다. 농식품부는 농생명자원을, 해수부는 해양생명자원 유전체를 연구한다. 산업부는 유전체 산업 비즈니스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부처 공동사업도 추진한다. 인간 게놈 표준지도 작성과 질병 기준 규명 유전체를 연구한다. 미래부·복지부·산업부가 참여해 한국인에 맞는 유전체 표준 서열과 변이 지도를 만든다.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가 구축되면 전 국민 대상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맞춤의학이 가능해진다. 유전체 정보 분석 비용도 획기적으로 낮아져 언제 어디서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변석수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장은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면 개인별로 각종 질병 예측이 가능하다”며 “개인별 맞춤의학 실현으로 예방 수준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2013년 19조원에서 2018년 57조원, 2023년 188조원으로 급성장하는 세계 유전체 시장 선점도 기대한다. 연평균 25% 성장으로 올해 2조원 규모인 세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시장에서도 부가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표]포스트 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

자료:보건복지부

5788억원 짜리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개인별 맞춤의학 시대 열린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