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는 지난 7월 일본 도쿄에 11번째 ‘해외지식재산센터(IP데스크)’를 마련했다. 중국에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양 등 네 곳이나 있지만 일본에는 처음이다.
추연석 KOTRA 도쿄IP데스크 담당 변리사는 “중소기업 해외 진출이 늘어나는 가운데 특허관리가 까다로운 일본 업계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설립 배경을 소개했다. 그는 특허법인 코리아나 출신으로 지난 7월 초대 도쿄IP데스크 담당 변리사 업무를 시작했다.
정혁 KOTRA 일본지역본부장은 “그동안 신흥국의 우리 특허 침해 대응에 집중했지만 우리의 선진국 선행특허 침해 문제가 제기되는 등 특허와 관련한 종합적 대응 필요성을 느껴 도쿄IP데스크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도쿄IP데스크는 일본 특허법률사무소와 관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특허업무 대리를 상대로부터 확약 받는 계약이다. 추 변리사는 “일본 특허사무소로서도 개별 중소기업이 직접 나서는 것보다 KOTRA가 대리하는 게 효율적”이라며 “법률, 번역 등 중소기업이 혼자 처리하기 어려운 특허 업무를 KOTRA가 대행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은 시골의 작은 나사공장도 특허를 내는 특허강국”이라며 “특허문제에 대비하지 않으면 우리 기업이 일본 업계로부터 특허 시비를 받을 수 있다”고 특허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요타가 최근 상용화한 하이브리드카 관련 특허를 10여년 전부터 출원하고 전담 변리사만 200여명을 두는 게 대표적이다.
도쿄IP데스크는 상표와 디자인 출원 비용 절반을 지원해 중소기업 부담을 덜었다. 유사 특허 등록여부를 사전에 파악해 침해 가능성을 점검한다. ‘기술 모방국’인 중국과 달리 일본은 ‘기술 선행국’으로서 섣부른 진출이 특허와 관련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안전을 담보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이다.
추 변리사는 “일본은 우리와 특허법 체계가 유사하고 한국 변리사가 많이 활동하는 가까운 시장”이라며 “중소기업의 성공적 일본 진출을 돕는 방향으로 도쿄IP데스크를 운영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도쿄(일본)=서형석기자 hsse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