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IoT 도입 시도 `활발`…정보보호·표준화 시급

공공 분야에서 사물인터넷(IoT) 적용이 다양하게 확산된다. 대부분 시범적용 등 초기 단계지만 장기적으로 IoT 기반 공공 서비스는 확산될 전망이다. 공공기관 IoT 도입 확산에 따라 환경에 맞는 정보보호와 표준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1일 공공기관에 따르면 서울·부산·인천시 등 지방자치단체, 국방부·국민안전처·행정자치부 등 정부부처, 한국전력공사·농어촌공사 등 공기업이 IoT를 활용한 다양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대부분 공공기관은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확산 적용할 계획이다.

공공기관 중 서울시가 가장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서울시는 IoT 기반 스마트 LED도로조명제어시스템을 구축,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환경·사람·사물 움직임을 감지해 자동으로 조명을 조정한다. 2020년까지 스마트 LED도로조명제어시스템 적용을 50%로 확대한다. 관광객이 많은 북촌에 비콘을 이용한 IoT 서비스도 제공한다. 북촌 IoT 서비스는 민간 스타트기업이 참여하는 개방형으로 추진한다. 2030년까지 1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IoT 기반 스마트 워터 그리드도 수립한다.

부산시는 창조경제형 관광여가도시를 위한 IoT 기반 통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우선 시범사업으로 해운대·부산진구 대상으로 비콘을 활용한 공공정보 매칭 제공, 판매시점관리(POS) 연계 바코드 이용권 확인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범사업 후 전역으로 확대한다. 인천시는 IoT를 활용해 신주차정보시스템을 만든다.

국방부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협력해 IoT 기반 병영생활을 개선하고 첨단 전장환경을 갖춘다. 신병훈련, 병영생활, 감시·정찰, 사건·사고 예방, 군수품 물류혁신, 군 의료체계 등에 적용한다. 연말까지 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내년부터 시범과제와 다부처 협력과제를 수행한다. 2017년부터 도입을 본격화한다. 국민안전처는 재난안전 관리에, 행정자치부는 전자정부에 IoT를 적용한다. 공기업으로는 한전과 농어촌공사 등 다수가 IoT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에 나선다.

공공기관이 IoT 도입을 본격화하면서 해결 과제도 제시된다. 대국민 서비스에 IoT가 적용돼 정보보안 이슈가 화두로 떠올랐다. 데이터가 센서에서 시스템이나 기기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암호화 등 해킹 대책이 요구된다. 행자부는 IoT 기반 전자정부시스템 보안대책 수립에 착수했다.

IoT 기반 공공서비스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체계도 확보해야 한다. 공공기관별로 산발 추진돼 IoT 적용 환경이 제각각이다. IoT 주파수를 비롯한 시스템 환경 표준이 요구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IoT 공통 플랫폼 운영과 상호운영성 실증사업을 시작했다. IoT 전문가는 “상당수 기관이 IoT 적용을 본격화해 향후 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해 표준화 논의가 시급하다”고 충고했다.


[표]주요 공공기관 IoT(사물인터넷) 도입 현황

자료:기관 종합

공공기관, IoT 도입 시도 `활발`…정보보호·표준화 시급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