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큰 손, 한국 스타트업 투자 `전방위 확대`

중국 자본의 한국 스타트업 공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한·중 스타트업 생태계를 연결하는 핵심 플랫폼이 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 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에 기회가 확대되는 한편, 장기적으로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주의가 요구된다.

6일 중국에 기반을 둔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테크코드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연구개발단지와 해외진출 지원사업 등 다양한 협력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또 성균관대학교 창업선도대학 사업에 중국 파트너로 참여해 중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대학생 예비창업자 창업교육과 기술사업화도 협력키로 했다.

작년 11월 중국 테크코드 한국 센터 오픈 기념식에서 황하이옌 중국 본사 대표가 인삿말을 하고 있다.
작년 11월 중국 테크코드 한국 센터 오픈 기념식에서 황하이옌 중국 본사 대표가 인삿말을 하고 있다.

테크코드는 지난해 11월 서울 삼성동에 스타트업 보육시설을 갖추고 인큐베이팅 사업을 시작했다. 12월에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MOU를 교환하고 국내 콘텐츠기업 중국 진출을 돕기로 했다. 현재 테크코드는 11개 국내 스타트업, 60여명이 입주했다.

테크코드 코리아 간판. 현재까지 세계에 9곳의 센터를 개소했고, 연내 11곳을 문을 더 열 계획이다.
테크코드 코리아 간판. 현재까지 세계에 9곳의 센터를 개소했고, 연내 11곳을 문을 더 열 계획이다.

김응석 테크코드 기업운영팀장은 “당장 입주 문의나 심사보다 중국 내 시장조사나 판로개척, 제휴 등을 원하는 한국 기업이 훨씬 많다”며 “중국 본사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특허나 제조 기반 기업을 찾고 있어 한국과 중국 양쪽 수요를 연결하느라 바쁜 상황”이라고 전했다.

테크코드 모회사는 중국에서 산업단지를 운영하는 화샤싱푸로 대규모 자금조달이 가능하다. 화사샹푸 지원을 받은 테크코드는 중국은 물론이고 미국, 이스라엘 등 총 9곳에 창업보육센터를 운영 중이며, 연내 11곳을 더 늘린다. 2017년까지 30여곳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김응석 팀장은 “최근에도 국내 화장품 기업 4곳을 중국 개인투자자·벤처캐피털(VC) 17곳과 연결하는 영상 데모데이를 개최했고, 그 중 중국에서 관심을 보인 2곳과 투자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중국 액셀러레이터인 트라이벨루가는 이른바 ‘맞춤형 관리’로 한국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있다. 트라이벨루가는 2014년 중국 기업으로 처음 서울 신사동에 인큐베이션센터를 열었다.

릴리 루오 트라이벨루가 대표(사진 가운데)가 지난 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창업보육 성과에 대해 말하고 있다.
릴리 루오 트라이벨루가 대표(사진 가운데)가 지난 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창업보육 성과에 대해 말하고 있다.

트라이벨루가는 현재 인큐베이션센터에 입주한 스마트농업 기업 ‘엔씽’과 동작인식기업 ‘브이터치’를 육성하고 있다. 엔씽은 연내 중국 시장에 첫 시제품을 선보이고 브이터치는 스마트홈·스마트카 시장 성장에 발맞춰 내년께 중국 시장 진출을 내다보고 있다.

트라이벨루가는 초기투자와 함께 중국 판매 계약을 맺고, 마케팅·법률·경영 등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트라이벨루가가 육성 중인 한국 스타트업(사진 왼쪽 두번째부터 김혜연 엔씽 대표, 김도현 브이터치 공동대표)
트라이벨루가가 육성 중인 한국 스타트업(사진 왼쪽 두번째부터 김혜연 엔씽 대표, 김도현 브이터치 공동대표)

릴리 루오 트라이벨루 대표는 “한국은 전반적으로 산업 인프라, 교육 수준, 중국에 대한 이해 수준에서 중국이 협력할 수 있는 최고 파트너”라며 “교육, 에너지 분야처럼 중국 친화적이고 친환경적 비즈니스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한·중 협력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면서 중국 자본이 기업발굴, 창업교육 영역까지 손을 뻗은 만큼 국내 산업 경쟁력 약화를 경계했다.

김경환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는 “단순 투자가 아니라 아예 한국 시장에 들어와 초기부터 발굴, 육성하겠다는 중국 기업과 거대시장인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밖에 없는 한국 기업 수요가 만났다”며 “기회를 잘 이용해야 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우리 기업 및 투자자 역량강화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