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인공지능 전략, 빅데이터 확보에 중심 둬야"

국내 인공지능 발전을 위해 빅데이터 확보에 힘쓰고 관련 규제를 개혁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막대한 예산을 통한 기술지원보다 개인정보와 국가정보 정책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가 인공지능 전략, 빅데이터 확보에 중심 둬야"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은 29일 광화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과 4차산업혁명` 포럼에서 “한국 인공지능 전략은 알고리즘 개발보다 빅데이터 확보 전략에 중심을 둬야 한다”며 “3조5000억원에 이르는 기술지원보다 빅데이터 관련 규제개혁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국가 미래전략을 다뤘다. 참가자들은 인공지능 산업 관건이 빅데이터에 달렸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인공지능 발전 원동력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오픈소스화, 컴퓨팅파워 향상, 빅데이터 증가 덕분이다. 알고리즘은 대부분 공개됐고 컴퓨팅 파워도 대중화됐다. 그러나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고 확보도 쉽지 않다. 배영우 IBM 상무는 “복잡한 현실에서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특정 분야 데이터 확보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확보를 위해 공공 데이터 공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공공 데이터는 정부3.0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데이터를 적극 공개하지 않고 공개 시 PDF로 공개하는 등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민간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 때문에 수집과 활용이 어렵다. 패러다임 변화와 영국 오픈 데이터 정책처럼 데이터 공개 기업에 지원이 필요하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정부3.0 공공 데이터 개방을 확대하고 개인정보보호 규제 개선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개인정보 정책 등 규제 개혁 필요성도 강조했다. 국내 개인정보 규제 패러다임을 사전동의제(Opt-in)에서 사후동의제(Opt-out)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기했다. 명시적 동의만 허용하는 방식에서 묵시적 동의를 허용해 데이터 수집, 활용, 유통이 가능토록 하자는 것. 개인정보와 비식별화된 정보 사이 명확한 개념 정립으로 기업 활용 여지를 만든다. 개인정보 통제권 강화로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사이 균형점을 찾는다.

이 이사장은 이날 인공지능 6대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 △개방 플랫폼 활용과 빅데이터 확보를 통한 활용 △오픈소스 활용과 목적 중심 개발 △공개교육 활용과 확대 및 학위심사 개혁을 통한 인재육성 △공공데이터 개방과 민간 데이터 공유 빅데이터 확보 △개인정보보호와 클라우드 규제개혁 △사회적 갈등 해소전략이 핵심 내용이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