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베이비붐 세대 위한 소비구조 개선 정책 필요 지적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베이비붐 세대가 연금을 수하는 2020년에 맞춰 고령층 소비구조 변화를 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금융상품 다양화를 통한 가처분 소득 확대·고령친화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규제 개혁 등으로 고령층 소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산업연구원(KIET)은 `베이비붐(1955-1963년) 세대의 은퇴로 고령층 소비구조 질적 변화 시작` 보고서로 베이비붐 세대가 연금을 본격 수령하는 2020년을 대비해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는 1955년에서 1963년 사이 태어난 세대(만 51-59세)다. 현재 인구는 약 728만3천명이다. 2015년 기준 총인구대비 14.4%를 차지한다. 이전 세대보다 소득·학력 수준이 높다. 실제 베이비붐 세대 연금가입율은 약 58%로 이전세대에 비해 10%이상 높다. 베이비붐 세대 가구주 중 대학이상 교육을 받은 가구주는 33.3%로 이전세대(16.0%) 두 배를 넘는다.

보고서는 일본 단카이 세대 사례를 들어 정책 대응 필요성을 설명했다. 일본 단카이 세대(일본에서 1947년부터 1949년 사이 태어난 세대)는 전후 경제성장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베이비붐 세대와 유사하다. 두 세대 모두 경제적 여유·높은 학력을 갖춰 다양한 문화·여가생활에 관심 많다. 일본정부는 단카이 1세대 은퇴 시점인 2007년을 기점으로 고령친화산업 활성화를 예상했다. 그러나 일본 고령친화산업은 △단카이 세대 미래 불안감 △일본 기업 고령층 기호 파악 실패로 발전이 늦었다.

보고서는 국내 고령친화산업 활성활 걸림돌로 △고령층의 낮은 가처분소득 △고령자 기호와 수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부족 △새로운 고부가가치 시장 성장 가로막는 규제를 꼽았다. 일본 실버산업 저해를 교훈 삼아 △가처분 소득 확대 위한 금융상품 활성화 △건강관리서비스 등 규제 개선 △고령층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