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원광大 등 21곳에 최대 150억 쏜다…교육부, 대학 구조조정 `속도`

건국대와 경북대·이화여대 등 21개 대학이 앞으로 3년간 6000억원 규모 재정 지원을 받아 구조개혁을 벌일 `프라임사업` 대상 대학으로 선정됐다. 21개 대학이 국고 지원을 받아 이동하기로 한 정원은 5351명이다. 이 가운데 공학계열로 이동하는 정원은 4856명에 이른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PRIME)사업` 대상을 선정, 발표했다. 프라임사업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미래 사회 수요를 반영해 정원 조정 등 학사 구조를 개편하고 학생 전공능력과 함께 진로역량을 강화하도록 유도하는 사업이다.

백성기 프라임사업 선정평가위원장 겸 사업관리위원장이 프라임사업 선정 대학을 발표하고 있다
백성기 프라임사업 선정평가위원장 겸 사업관리위원장이 프라임사업 선정 대학을 발표하고 있다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에는 건국대·경운대·동의대·숙명여대·순천향대·영남대·원광대·인제대·한양대(ERICA) 9개 대학이,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에는 성신여대·이화여대·경북대·대구한의대·한동대·동명대·신라대·건양대·상명대(천안)·군산대·동신대·호남대 12곳이 선정됐다.

애초 대형사업 가운데 한 곳에 최대 300억원까지 지원하기로 했으나 해당 규모로 사업을 추진할 대학이 없고, 신청 대학도 없어 선정하지 않았다. 대형 9개 대학에는 매년 150억원 내외를, 소형 12개 대학에는 매년 50억원 내외를 3년 동안 지원한다.

선정된 21개 대학이 제출한 사업계획에 따르면 프라임 분야로 정원이 이동되는 규모는 5351명이다. 해당 대학 전체 입학정원 4만8805명의 10.96%에 해당한다. 사업계획은 2017학년도 입학정원부터 반영된다.

선정된 대학은 취업률을 2015년 기준으로 2018년까지 평균 3.1%포인트를, 2023년까지 평균 7.7%포인트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백성기 프라임사업 선정평가위원장 겸 사업관리위원장은 “선정된 대학에는 올해부터 3년간 자발적이고 질적 구조개혁을 지원하고 재정지원이 끝나는 2018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체질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매년 성과 목표 달성도 등을 점검하는 등 성과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부터 대학가를 구조조정 소용돌이로 몰아넣은 프라임사업 지원 대상이 21개 대학으로 확정됐다. 선정된 21개 대학은 당장 2017학년도부터 새로운 정원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바로 구조조정에 들어가야 한다. 프라임사업을 신청하기 전에 대학 내 이해관계자 간 합의 도출을 원칙으로 했지만 정원을 조정하면서 일어날 내부 갈등 해소도 숙제다.

선정된 21개 대학을 분석한 결과 재정지원을 받아 이동하기로 약속한 정원은 5351명이다. 사회 변화와 산업 수요를 반영해 각 대학 강점을 살려서 조정한 결과 정원이 늘어난 계열은 공학이 4856명으로 가장 많았고 자연과학(329명), 인문사회(126명), 예체능(40명) 순으로 나타났다. 줄어든 분야는 인문사회(2626명), 자연과학(1479명), 예체능(819명), 공학(427명) 순이다. 선정된 21개 대학은 당장 내년도 인문사회 계열에서 정원을 2626명 줄이는 대신 공학 계열은 4856명 늘린다.

21개 대학은 주로 정보통신기술(ICT)융·복합, 스마트기계, 신소재, 의생명 헬스케어, 미래에너지, 디자인엔지니어링, SW융합, 항공(서비스, 기계, 무인기), 융합보안공학, 시스템반도체,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미래에너지 등 유망 산업 중심으로 학과를 개편했다. 선정 대학 가운데는 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 분야로도 정원을 이동해 문화콘텐츠, 농수산 6차 산업, 바이오소재, 뷰티산업, 서비스 디자인 공학 분야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대학도 포함됐다.

이들 대학은 정원조정으로 취업률을 2015년 기준으로 2018년까지 평균 3.1%포인트를, 2023년까지 평균 7.7%포인트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교육부는 2017년부터 적용받는 학생이 처음 졸업하는 2021년부터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가 배출돼 인력 미스매치와 청년 실업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프라임사업이 재정난을 겪는 대학에는 `사막의 오아시스`가 될 수 있지만 학과 통폐합과 정원 조정 작업에 따른 학내 갈등을 완벽하게 해소하는 것도 숙제다. 프라임산업 선정평가위원회에서 교수와 직원, 학생 등 참여 주체의 합의가 이뤄졌는지도 중요한 심사 기준의 하나였지만 만일에 남아 있을 갈등 요인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다.

홍민식 교육부 대학지원관은 “프라임사업 예산 가운데 10%는 정원이 줄거나 조정되는 학과에 사용할 수 있다”며 “예산 활용도에 따라 정원이 줄어드는 학과도 충분히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문정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mjjo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