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CT 융합보안 발전전략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안심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이다.
ICT와 교통·의료·에너지 등 산업간 융합이 확산되면서 해킹 등 사이버 보안위협이 산업은 물론이고 일상생활로 확대될 위험이 커지는 데 따른 대응책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의료 분야에선 체내 약물주입 펌프를 해킹해 주입량을 조작할 수 있다는 위험이 발견되면서 지난해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됐다. 스마트 교통 분야에선 원격으로 시동이나 브레이크 조작이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융합이 진전된 에너지·제조·교통·의료·홈가전 5대 분야에서 우선 ICT 융합보안 정책을 펴기로 했다.
주요 융합산업별 보안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배포하고, 융합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초기부터 적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산업별 인증제도에 보안 핵심사항이 포함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ICT 융합산업계에 적정 보안 투자수준을 제시,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보안 투자지수`를 개발한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안전성도 검증할 계획이다.
융합보안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15대 융합보안 선도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지역별 융합보안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 특화 ICT융합산업 보안수요를 발굴하기로 했다.
보안컨설팅, 제품 성능테스트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융합보안 허브`를 만들고 부처·업계간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보안투자 비율을 ICT 융합산업 매출액 대비 1%까지 높이고 전문기업을 100개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