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인증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新기후체제(포스트2030)에 따라 기업 인증 수요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 법 개정으로 기술 변화를 반영한 인증으로 또 한 번 업그레이드될 예정이어서 관심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6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녹색인증사이트 분석 결과, 발급된 녹색인증은 총 1559건에 달했다. 2011년 31건에 불과했던 것이 2012년 149건, 2013년 283건, 2014년 356건으로 늘었다. 지난해 532건이었고, 올해 들어 지난 3일까지 208건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신기후협정 등 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산업계 관심이 높아진 2014년에서 지난해 1년간 176건이나 순증하면서 크게 늘었다.
한상영 KIAT 사업화확산태스크포스(TF) 팀장은 “일반인에게는 공론화가 안됐지만 지난해 말 파리 기후변화협약이 산업에 미친 영향은 꽤 컸다”며 “미세먼지와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관심도 부각되고 있어 녹색인증에 대한 산업계 관심은 계속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녹색인증은 이전보다 한층 `깐깐해진` 인증으로 거듭났다. 이달부터 `저탄소 녹색성장 시행령` 개정에 따라 인증 연장이 단 한 번으로 제한된다. 대신 인증 유효기간을 2년에서 3년으로 늘렸다. 기업이 6년 이상 인증을 유지하려면 신규 인증을 받아야 한다.
녹색인증 기업 관계자는 “녹색인증을 신규로 받으려면 품질 검증 시험성적서를 갖추는 등 이전 기술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검증해야만 한다”며 “6년 주기로 설정한 개정은 기술발전 추세와 업계 상황을 봤을 때 합리적인 변화”라고 밝혔다.
KIAT도 법 개정에 따라 인증제를 합리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한 팀장은 “기술이 빠르게 바뀌는 것을 감안, 1회로 연장 횟수를 제한하는 최근 인증제도 추세에 맞춘 것”이라면서 “신규 인증이 아무래도 서류부터 더 정확하게 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도 신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녹색인증 연도별 발급 추이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