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기반시설 수도권 집중화로 지역 간 격차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곽상도 의원(새누리당, 대구 중남구)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문화기반시설 지역별 현황`자료에 따르면 문화기반시설은 경기 지역에 481개(19.1%), 서울 342개(13.6%), 인천 88개(3.5%)가 몰려 있다. 전체 문화기반시설의 36.2%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이다.
시도별로는 경기지역이 481개로 가장 많았고 서울 342개, 강원 198개, 경북 193개, 경남 187개, 전남 179개, 충남 149개, 전북 148개, 충북 126개, 제주 125개, 인천 88개, 부산 79개, 대구 66개, 광주와 대전이 각각 54개, 울산 40개, 세종 10개 순이다.
문화기반시설별는 전체 930개 공공도서관 가운데 경기지역에 217개(23.3%), 서울에 132개(14.2%), 인천에 42개(4.5%)로 전체 공공도서관의 42%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반면 대구·광주·대전·울산·세종은 30개 이하다.
미술관은 전국 202개 가운데 경기 지역에 44개(21.8%), 서울에 38개(18.8%), 인천 4개(2.0%)로 전체 미술관의 42.6%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반면에 울산과 세종시에는 단 한 곳도 없다.
박물관도 전국 809개 가운데 경기 143개(17.7%), 서울 122개(15.1%), 인천 25개(3.1%)로 전체 박물관의 35.8%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반면 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세종은 20개 이하이다.
문화 활동 수도권 편중 현상 역시 심각했다. 지난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발간한 `2015년 문예연감`에 따르면 2014년 문화활동 3만6803건 가운데 절반이 넘는 1만9846건(53.9%)이 서울에서 이뤄졌다. 경기가 4459건(12.1%)으로 뒤를 이었고 부산 2162건, 대구 1486건, 경남 1219건, 전북 1114건 등이다.
곽상도 의원은 “문화기반시설이 수도권에 쏠려있는 것도 문제지만 어느 한 지역에 기반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기 때문에 정부 문화재정 지출이 지방에 우선 지원될 수 있도록 예산과 정책의 안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 의원은 이어 “지방자치단체 역시 문화관광 인프라와 프로그램 확충에 더욱 관심을 갖고 구체적으로 접근, 정부 지원을 끌어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도별 문화기반시설의 지역별 현황(2015년 1월 기준)>
주문정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mjjo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