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 배치 결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뜨겁다. 사드는 몇 해 전부터 계속 뜨거운 감자였다. 2014년에도 사드 배치는 논란을 불러왔다. 사드는 주로 단거리와 저고도 미사일을 요격하기보다는 장거리와 고고도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드는 미국의 록히드 마틴사가 개발한 것으로 적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미국 본토에 도달하기 전에 상공에서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됐다. 발사 후 대기권을 벗어났다가 다시 진입하고 이 가운데 최고도에서 떨어지는 지점(4단계)인 종말에서 맞춰 격추시키는 것이다.
사드 체계는 단·중거리용 전역상층공중방어망으로 미국 MD체제 일부이다. 미사일과 발사대, 레이더, BMC3I로 구성돼 있다. 사드는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는 MD체계의 종말단계 요격체계로 해외 주둔 부대나 인구밀집 지역 등을 방호하기 위한 전구급 미사일방어수단이다. 탄도미사일이 대기권에 진입하기 전·후에 요격한다.
사드 길이는 6.17m, 무게 900㎏, 직경 34㎝, 최대속도 마하 8.24 이상이며, 고도 150~200㎞ 상공에서 요격이 가능하다. 사드 1개 포대는 발사대 6기로 구성되며, 발사대 1기는 8발의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다. 1개 포대는 48발의 미사일로 구성된다. 1개 포대의 구매 가격은 약 2조원으로 추정된다. 한국을 방어하는 데는 2~4개 포대가 필요하다.
사드 1개 포대 구성은 사드 발사대 6기, AN/TPY-2 X밴드 레이더 1기, 통제차량 1대, 전자장비 차량 1대, 1.1Mw 주 전력 장비 1대, 냉각장비차량 1대 등으로 구성된다. 사드를 구매하면 그 비용은 약 6조~9조원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미사일 공격과정은 기지에서 발사되는 발사단계,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는 비상단계, 목표물을 향해 하강하는 종말단계로 나눠진다. 종말단계는 상층, 중층, 저층방어로 구분된다. 저층방어는 내려오는 미사일을 지상 약 20㎞ 상공에서 요격한다. 공격거리의 종심이 가까운 거리에서 요격할 기회는 한 번밖에 없는 셈이다. 한국정부가 개발 중인 한국형 미사일(KAMD)이나 킬 체인(Kill Chain)은 모두 저층방어용이지만 종말단계에서는 100% 요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이 북한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과정은 종말단계에서 효력이 발생하는 저층방어체계이다.
요격미사일은 적의 항공기나 로켓에 부딪쳐 폭발하거나 적의 공중 물체에 접근하면 부딪히기 직전에 폭발해서 파편으로 목표물을 파괴하기도 한다. 사드는 적의 로켓과 직접 부딪쳐 서로 파괴하는 힛투킬(hit to kill) 방법으로 적 로켓을 파괴한다. 만약 북한 핵무기를 탑재한 로켓이 한반도 상공에서 사드요격으로 폭발하게 되면 적의 로켓을 요격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공중에서 폭발하는 핵의 낙진을 피하기 어려워 간접 살상 무기가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사드미사일을 설치하는 데는 넓은 장소와 안전거리가 요구된다. 사드를 운용하려면 AN/TPY-2 고성능 X밴드 레이더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사드 설치 부지도 축구장 약 4배 크기인 가로 281m, 세로 약 94.5m가 요구된다. 사드 레이더 장소 외곽에는 11만2396입방미터(3만4000평) 면적에 외부인 접근을 방지하는 철조망을 설치해야 한다.
전자파를 피할 수 있는 안전거리도 확보해야 한다. AN/TPY-2 X밴드 레이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각 65도 시계로 레이더 전방 5.5㎞ 거리까지는 아무것도 없어야 한다. 사드는 일반적으로 사막이나 바다와 인접한 지역에 배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사드가 배치된 5개 나라 기지는 모두 해안가와 섬, 사막 등으로 레이더가 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경상북도 성주 내륙지역에 민가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이 가장 큰 주민 반발 이유다.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사드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며 경상북도 성주군민은 성주군청 마당에서 시위하며 반대하고 있다. 사드는 레이더에서 전자파를 뿜어대는데 이것이 인체에 유해한지 논란이다.
정부는 성산포대에 설치되는 사드 레이더가 기지 울타리에서 500m 안쪽에 위치하고 지상 400미터에 설치돼 발사각도도 최소 5도 이상 위로 향해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주민들을 안심시키려고 사드가 배치되면 제일 먼저 레이더 앞에서 전자파 위험이 있는지 직접 시험해보겠다고 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한두 번 반짝 전자파를 쏘이는 것과 평생 그 아래 살아가면서 전자파 영향을 받는 것은 다르다는 입장이다.
레이더 발사각 아래 영향력은 알 수 없다. 또 레이더 세기와 운용 시간에 따라 안전 기준은 달라질 수도 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
송혜영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