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학 최전선을 가다]<4>서울아산병원, 맞춤형 치료 선도병원으로 `우뚝`

현대 의학 난제인 `암`은 아직도 원인과 해결책을 규명한 게 거의 없다. 같은 암이라도 세포 종류가 다르고, 발병 원인도 환자마다 달라 표준화된 치료도 어렵다. 암 치료 새 지평을 연 것이 유전체 분석이다. 개인 유전체를 분석해 표적항암제를 찾아 투여한다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문제가 되는 약물 부작용도 줄여 암 치료의 미래로 주목받는다.

서울아산병원 연구원이 유전체분석을 위한 DNA 준비과정을 거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연구원이 유전체분석을 위한 DNA 준비과정을 거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다양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맞춤형 암 치료`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글로벌 의료기관과 손잡고 암 분야 정밀의학 구현에 투자를 지속한다. 유전체 빅데이터를 활용해 `질병 지도`를 만들어 치료를 넘어 예방까지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서울아산병원 유전체맞춤암치료센터는 2012년 만들어진 국내 최초 맞춤형 암센터다. 폐암, 대장암, 위암, 유방암, 담도암 등 대부분 암에 대해 유전체 분석 검사를 실시한다. 축적된 유전체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DB)화해 맞춤형 암 치료 임상에 적용한다.

맞춤형 암 치료를 선도하는 이유는 `데이터`에 있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은 712병상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수술실적은 2013년 1만7467건에서 지난해 1만8815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한다. 암 치료 분야 세계 1위인 엠디앤더슨 암센터가 631병상 규모에 연간 8656건을 시행하는 것과 비교하면 서울아산병원 암 수술 실적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풍부한 수술과 치료 경험은 자연스럽게 많은 임상 데이터를 축적한다. 환자마다 각기 다른 증상을 보이는 암 치료 특성상, 다양한 데이터는 `개인별 맞춤 치료` 토대가 된다.

유전체 분석으로 `질병 세부 지도` 전기를 마련한 것 역시 정밀의학 성과로 꼽힌다. 한범 융합의학과 교수는 하버드 의대 연구진과 함께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고 생물학적 기전, 치료법 등 세부 특성에 따라 질병을 소분류로 구분하는 의학통계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한 질병 안에는 여러 소분류가 존재하고 생물학적 기전, 예후, 반응정도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현재까지는 질병별 어떤 소분류가 존재하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알고리즘 개발로 유전자 사이 양성 상관계수를 측정하는 작업을 반복해 전체 질병 지도를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 질병 소분류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한범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
한범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

한범 교수는 “그동안 의료계에서도 질병에 대한 전통적 분류가 맞는지 이견이 많았지만, 어느 누구도 확답을 내리지 못했다”며 “단순히 현상만 보고 판단했던 진단법이 유전자를 분석하면서 새로운 분류,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CCP 음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유전체 정보를 분석한 결과 3분의 1이 CCP 양성류마트스 관절염과 유사했다. CCP 음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치료법 제시가 가시화된다. 즉 질병 간 유전적 유사성을 찾아내 기존 사용하는 치료제를 다른 질병을 고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질병 소분류를 파악해 발병 원인, 질병 간 상관관계 등을 조합함으로써 `질병 지도`까지 작성한다.

한 교수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남여 사이 유전체 특성에 따른 유병률 차이를 연구할 계획”이라며 “암, 희귀질환 등 유전체 분석이 반드시 필요한 영역을 대상으로 국내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