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스텔스기 표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소재 개발

KAIST(총장 강성모)는 학내 연구팀이 수학의 공간채움 원리를 이용, 기존 소재보다 2000배 이상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전자기파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메타물질의 모식도와 실제 사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메타물질의 모식도와 실제 사진

유전상수는 소재의 전기 성질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성질이다. 물질 내부의 전하 사이에 전기장이 작용할 때 전하 사이의 매질이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다. 진공상태의 유전상수는 1, 가장 큰 광대역 유전상수는 최대 1600 수준이다.

수학분야의 공간채움구조
수학분야의 공간채움구조

연구팀은 수학의 공간채움 구조를 전자기 소재에 대입, 피뢰침처럼 좁은 영역에서만 발생하는 강한 유전분극이 메타물질 공간 내부 전체에 밀집돼 나타나게 만들었다. 또 공간채움선의 방향을 조절, 밀집된 유전분극이 서로 상쇄하지 않고 합쳐지도록 조절했다. 이를 통해 300만 이상의 큰 유저 상수를 얻는 데 성공했다.

유전상수가 320만이면 이 물질을 활용한 축전지 전기 용량은 진공에 비해 320만배 커진다. 전자기파 흡수 비율이나 방출 속도도 320만배 커진다. 굴절률은 약 1800배가 돼 이 소재 안에서 빛의 속도는 1800배 느려지고 파장은 1800배 짧아진다. 이를 통해 렌즈 소자를 1800배 작게 만들 수 있고, 기존의 이미징 장치에 비해 1800배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아주 얇은 막으로 전자기파를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어 전투기나 함정에 씌워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스텔스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5G폰용 안테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시광선에 이 원리를 적용하면 바이러스를 직접 볼 수 있는 수준의 분해능이 높은 현미경을 비롯해 다양한 응용이 기대된다.

개발에 참여한 신종화 교수(왼쪽)와 장태용 박사과정
개발에 참여한 신종화 교수(왼쪽)와 장태용 박사과정

개발에 참여한 신종화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간단한 수학 및 물리 원리가 혁신 성능의 신소재 개발로 이어졌다“면서 ”기초 원리의 중요성을 확인한 값진 경험이었다”며 의미를 뒀다. 신 교수는 이 원리를 기반으로 신소재 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

대전=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