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5년 내 수출 갑절, 신규 일자리 18만개 창출 목표를 제시했다. 정밀의료, 신약 개발 등 세계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 보건 산업 생태계 등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
정부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8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개최하고 보건복지부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을 확정했다. 그동안 따로 추진되던 의약품, 의료기기, 제약 등 보건 산업 전반을 조망한 첫 종합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성과를 거둔 제약과 의료기기, `K뷰티` 열풍 주역인 화장품은 세계 시장 선도 제품으로 개발한다. 2018년부터 암, 심장, 뇌혈관, 희소질환의 국가 차원 신약 개발 프로젝트를 착수한다. 신약 개발의 국내 수행 임상 3상 세액 공제, 신약 생산 시설 투자 세액 공제도 지원한다.
2021년까지 질병관리본부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설립한다. 영산진단기기, 생체계측기기 등 주요 분야별 특화 기업을 지정해 임상시험까지 연계해 지원한다.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BT) 융·복합 의료기기 실용화를 위해 중개연구와 임상시험 지원을 확대한다. 성능 비교 검증을 위한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테스트센터를 단계별로 늘린다. 항노화, 감성화장품 연구개발(R&D) 투자 신설, 화장품 원료 전문 우수 기업 지정 등 K뷰티 글로벌 경쟁력 강화도 추진된다.
맞춤형 정밀의료와 첨단 재생의료 기반도 확충한다. 2021년까지 폐암·위암·대장암 환자 유전체 자료를 분석, 암 진단·치료법을 개발한다. 첨단재생의료법을 제정, 환자 치료에 필요한 시술을 빠르게 적용하는 `병원 내 신속 적용제도`를 도입한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보건의료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원격의료 시범 사업을 확대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페루, 필리핀, 중국, 몽골 등 해외 시범 사업을 본격화한다.
외국인 환자도 2020년까지 연간 75만명을 유치한다. 외국인 환자 종합 지원 강화, 미용성형 부가가치세 환급 연장 등을 추진한다.
내년에는 보건산업 전 주기를 지원하는 바이오헬스 비즈니스 코어센터를 설치한다. 지식재산, 제품화 컨설팅, 기술평가, 기술 거래 등을 지원한다. 기술 거래 활성화와 벤처기업 출구 전략 다양화를 위해 올해 53개인 `보건의료 기술이전 전담조직`을 2020년까지 100개로 늘린다.
의료기기, 화장품, 정밀의료 관련 근거 법 마련을 위해 현 `보건의료기술 진흥법`을 `보건의료기술 및 산업진흥법`으로 개편한다.
정부는 종합발전전략이 무리없이 추진되면 2015년 기준 73세인 건강수명은 2025년 76세까지 늘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규모는 2015년 9조원에서 2020년 20조원으로 갑절 이상 늘어나고, 일자리는 지난해 76만명에서 5년 내 94만명까지 확대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바이오헬스케어를 포함하는 첫 보건 산업을 정의하고 이에 바탕을 둔 종합발전 전략을 내놨다”면서 “R&D, 상업화, 해외 진출, 생태계 구축 등 산업 전반을 아울렀다”고 설명했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업화 단계까지 못 간 유망 기술 발굴 노력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