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시장 확대… 절전도 좋지만 소비자 불만이 숙제

건축물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의무 설치 비율이 이달부터 늘어나면서 관련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이 콘센트는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 플러그를 뽑거나 차단기를 내리지 않아도 자동으로 대기전력 낭비를 막아준다.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시장 확대… 절전도 좋지만 소비자 불만이 숙제

9월부터 서울시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중 연면적 10만㎡ 이상 건물에 설치되는 콘센트 70% 이상은 대기전력차단 기능을 갖춰야 한다. 서울시 녹색설계 건축 기준에서 처음으로 의무비율이 부여됐기 때문이다. 정부가 고시한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서 지정한 의무비율 30%보다 2배 이상 높다. 지난 7월 서울시가 고시한 `건축물 및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의 환경영향평가 항목 및 심의기준` 개정안이 발효된 탓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9월 1일 이후 환경영향평가를 요청한 건물이 대상이다. 건축 인·허가 전 단계라 현재 건축 중인 건물은 설치 의무가 없다. 종로에 있는 국세청 사옥보다 큰 건물이면 모두 해당된다고 보면 된다. 공동주택만 신축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사업 부지로 따지기에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전부 의무 대상이다.

가구 내 콘센트 개수를 20개로 어림잡아도 14개 이상이 대기전력 차단콘센트다. 연간 서울에 들어설 신축 사무실과 세대 수를 5만으로 가정하면 70만개에 달한다. 개당 가격이 5만원 수준이라 서울시만 연평균 350억원 규모다.

◇전기흡혈귀, `대기전력`을 잡아라

대기전력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전기제품이 소비하는 전력이다. 대기전력을 흔히 전기흡혈귀라고 표현한다. 정부나 지자체에서 대기전력을 줄이려는 이유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가정에서 대기전력으로 손실되는 전력이 6~11%로 추정된다. 가구당 연간 대기전력 소비는 209㎾h다. 우리나라 전체에서는 2~3% 수준이다. 전력 사용량 중에서 가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정도인 점을 감안했다.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한해 4160억원에 달한다. 가구당 연간 2만5000원가량 전기요금 부담을 가중시킨다. 에너지공단이 지난 2011년 전국 105가구를 대상으로 1943개 유효 가전기기 대기전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다.

공단은 연말 발표를 목표로 대기전력 현황을 재조사 중이다. 최근 전기기기 간 통신이 늘면서 대기전력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어 전기 플러그를 뽑거나 차단기를 내리기도 어렵다. 가정 내 전기기기 중 대기전력 소모량 우선 순위도 달라졌다.

◇자동차단, 제품명 무색…소비자 불만 해결해야

현재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시장은 제일공업과 파나소닉ES신동아, 아남르그랑, 스필 등 일부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직접 개발하기도 하지만 판매 대행도 한다. 동일한 제품을 브랜드만 다르게 해 판매하기도 한다.

문제는 일부 기기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데 있다.

콘센트와 연결된 전기기기 전원이 꺼지면 자동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되지만 다시 전원을 켜려면 리모컨으로 콘센트를 깨워야 한다. 꺼질 때는 자동이지만 켤 때는 수동인 셈이다.

저전류가 지속해 흐르는 휴대폰 충전기는 대기전력으로 판단해 전원을 차단하기도 한다. 부하량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연결을 끊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해당 오류로 작동법을 묻는 질문이 네이버 지식인 등에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일부 사용자는 상시 전원 콘센트에 멀티탭을 연결해 쓰거나 아예 콘센트를 교체하기도 한다. 일반 콘센트는 자동차단콘센트에 비해 가격은 3분의 1 정도로 저렴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는 어떤 의미에서 `자동`이라 부르기 애매하다”면서 “소비자가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대기전력 낭비를 막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설치 의무 기준>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설치 의무 기준


유창선 성장기업부(구로/성수/인천)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