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안되는 국방 광대역 통합망 `군 지휘체계 혼란` 우려](https://img.etnews.com/photonews/1609/856970_20160925170922_348_0001.jpg)
군단급 이상 군부대를 연결하는 국방부 유선통신망이 부실하게 완료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네트워크관리시스템(NMS) 기능 일부가 연동되지 않아 강원도 지역 부대를 잇는 통신망을 수도권에서 통합 관제하기가 어려워 당초 사업 목표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이종걸(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중로(국민의당) 의원과 국회 국방위 관계자에 따르면 국방부가 `국방 광대역 통합망 주·보조노드 회선 임차` 사업을 일단락했지만 NMS 간 연동이 졸속으로 완료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과 김 의원은 강원도 지역 국방망(주·보조노드)을 관리·제어하는 NMS와 수도권 망(중서부링)에 적용된 NMS를 통합하기 위한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며 26일 국정감사에서 국방부의 관리 부실을 질의한다.
두 NMS가 서로 맞지 않으면 국방망 통합 관제가 불가능하다. 강원도 지역 국방망만 따로 제어하고 관리해야 한다. 네트워크 이상이 발생했을 때 무중단 통신 체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수도권 망에 포함된 통합 관제센터에서 강원도 국방망 현황을 파악하려면 다른 사용자환경(UI)을 통해야 한다”면서 “이원화 운영으로 장애 감시 등 관제 수준이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의원과 김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사업 검수 과정에 참여한 한국국방연구원(KIDA) 전문 위원은 “기존 NMS에서 제공하는 관리 기능이 신규 NMS에 적절하게 구현됐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구축된 수도권 NMS와 신규 NMS 연동이 검수 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당시 두 NMS 간 관리자 권한 공유 등 기능 일부가 완성되지 않은 상황이었다는 게 김 의원의 분석이다.
검수 이전 NMS 간 연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사 간 기술 지원 요청 사실도 확인됐다. NMS 개발사 관계자는 “무중단 통신망을 운영하려면 하위 네트워크관리시스템(EMS) 간 연동이 필요하지만 개발에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면서 “기술 지원 요청에 해결해 줄 수 없다고 회신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과 김 의원의 문제 제기에도 국방부는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국방부 정보통신기반체계과 관계자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추가 기능이 필요하다는 의미이지 연동 자체가 안 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통신망 구축 이후 현재까지 통신망 연동 관련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의원과 김 의원은 국방부 관계자에게 수차례 의혹에 대해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이 의원실 관계자는 “국방위 사전 질의에서 국방부는 `해당 사업에 대해 감사원 감사 중이어서 자세한 내용은 감사가 끝나야 확인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면서 “감사원 확인 결과 감사는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감사원 핑계로 국회의 질의 행위를 차단하려는 것”이라면서 “국정감사에서 사실 여부를 다시 확인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과 김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NMS 연동 문제를 비롯한 국방부의 사업 관리 실태를 조목조목 따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용어 설명
국방광대역통합망(M-BCN)=육·해·공군 사령부와 군단급 사령부를 연결하는 유선 지휘 통신망. 크게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을 잇는 중서부링과 강원도 지역을 연결하는 주·보조노드 회선, 경상도와 전라도 등지에 구축한 2군작전사령부 통신망으로 구성됐다. 전체 국방광대역통합망은 중서부링에 위치한 통합관제센터에서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