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산업 바람을 타고 각종 핀테크 협·단체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곳만 12개, 비인가 협회와 출범을 준비하는 곳까지 합치면 20여개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그만큼 핀테크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고 시장도 활기차게 돌아가고 있다는 방증이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 규모로 볼 때 과연 20개 정도의 협·단체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신규 산업이 자리 잡기 위해 협회나 단체 활동은 필요하다. 이들은 정부가 챙기지 못하는 부분을 다양한 경로로 해결하거나 건의하고, 업체 간에는 정보 공유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사업 시너지를 일궈 내기도 한다.
이익집단이라는 태생상의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핀테크라는 신규 산업이 자리를 잡기 위해 겪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할이 크다. 주요 산업별로 협회나 단체가 운영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과열 분위기는 긍정보다 부정 요소가 많이 부각된다.
업계 대표성을 띤 것처럼 포장해 각종 이익 사업만 추구하거나 자격 미달인 곳이 정책 방향에 혼선을 빚는 사례까지 있다. 실제 핀테크 관련 협회 간 주도권 싸움이 소송전으로 치닫기도 했다.
기업이나 협·단체 간 분쟁뿐만 아니라 자칫 관련 부처 간 주도권 싸움으로 번질 우려도 있다.
실제 금융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는 부처별로 별도의 인가를 내주는 등 보이지 않는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부처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 성격에 맞는 협·단체의 운영 필요성이 있을 수 있지만 이전 사례로 볼 때 결국 부처 간 줄 세우기로 변질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같은 점을 감안, 미래부 산하 기관 등에서 일부 협·단체에 단일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고 한다.
영국이나 중국 등 핀테크 선진국에 비해 국내 핀테크 산업은 겨우 걸음마를 뗀 상황이다. 더 강하고 앞서간 나라 밖 경쟁자가 수 없이 많은 상황에서 밥 그릇 싸움으로 비쳐지는 협·단체의 난립상이 곱게 보이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