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정부, 부실 무한상상실 통폐합

정부가 창조경제 핵심 사업을 위해 전국 각지에 설치한 `무한상상실`을 점검한다. 이용자 수가 저조해 국회로부터 질타를 받자 미래창조과학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미래부 관계자는 “올해 내실화를 위해 신규 지정은 하지 않았다”면서 “무한상상실은 잘되는 곳으로 기능을 한 데 모으는 방식으로 평가, 연말에 재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제대로 된 메이커 공간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면서 “목재, 금속 공예, 섬유, 기계 등 무한상상실의 거점화와 특성화를 목표로 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55개 무한상상실은 최근 3년 동안 하루 평균 이용자가 2014년 6.42명, 2015년 9.35명, 2016년 상반기 11.6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무한상상실은 총 86억원의 국가 예산이 투입됐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이용이 저조하다는 지적을 받은 정부는 접근성 확대 등 대안을 마련하겠다며 홍보비에만 9억5000만원을 사용했다.

올해 무한상상실 전체 예산 44억원의 약 10%를 차지하는 강연비 예산 집행도 허점을 드러냈다. 각 기관이 일원화된 규정이 없어서 강사비 집행에 큰 편차를 보인 것이다.

미래부는 기관별 운영 프로그램이 다양해서 일률화한 기준을 적용하지 않았지만 강사 전문성, 숙련도 등을 고려해 정한 강사비 지급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지적 때문에 강사료 공통 기준 적용 방안을 검토한다는 입장 표명일 뿐이었다.

미래부는 무한상상실 내실화를 위해 통폐합과 함께 운영 활성화에도 박차를 가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존에 발표한 100만 메이커 양성 계획은 이어 간다. 민간에서 이뤄지는 메이커 운동과 무한상상실을 연계해 활성화한다. 무한상상실 컨설팅단 운영, 전국 및 지역협의회 운영, 경연대회인 무한상상 메이커스 런 개최, 농어촌 지역에 3D 장비를 탑재한 차량을 학교로 보내는 무한상상 펩트레일러 운영 등은 지속한다.

미래부는 “앞으로 운영 미흡 기관 정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상설 오픈 형태 운영 확대, 효율 높은 홍보 추진 등으로 운영 활성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면서 “더 높은 홍보 효율성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