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2대 신산업 육성 과제 확정 "2025년까지 2배 확대"

21일 서울 대한상의에서 열린 제4차 신산업 민관협의회에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21일 서울 대한상의에서 열린 제4차 신산업 민관협의회에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정부가 전기·자율차, 차세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로봇,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등 12대 신산업 육성에 팔을 걷었다. 과감한 규제 개선과 성과 중심 지원 시스템, 융합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신산업 비중을 2025년까지 2배 확대한다. 또 신산업분야에서 일자리 38만개를 추가 창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대한상의에서 제4차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열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최종안을 확정했다.

신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는 △과감한 규제 개선 추진 △성과 중심 집중 지원 시스템 구축 △융합 플랫폼 구축 △신산업 시장 창출이 꼽혔다.

구체적으로 신산업 중심의 과감한 규제 개선과 개방적 투자 환경 조성,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R&D) 추진과 핵심 인력 공급 기반 구축이 추진된다. 또 업종별 융합 얼라이언스를 확산하고 신산업 초기 시장 수요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집중 육성할 12대 신산업은 △시스템 산업(전기·자율차, 스마트·친환경 선박, IoT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에너지 산업(신재생·ESS·AMI 등 신산업) △소재부품 산업(첨단 신소재, AR·VR,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으로 구분된다.

각 산업별로 2025년까지 전기·수소차 35만대 수출, IoT가전 수출 200억달러, 신재생 에너지 수출 200억달러, 시스템반도체 시장 점유율 10% 달성 등 목표가 제시됐다.

이 같은 목표가 실현되면 2025년 신산업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은 지난해 6.6%에서 13.2%로, 수출은 11.2%에서 20.1%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신산업 비중이 2배 높아지는 셈이다. 또 신산업 분야에서 추가로 늘어나는 일자리는 38만개에 달할 전망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산업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자유롭고 개방적인 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4대 정책 방향을 토대로 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리고, 새 일자리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12대 신산업별 발전 목표 (자료:산업통상자원부)>


12대 신산업별 발전 목표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양종석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