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23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이라고 최종 발표했다. 차기작 `갤럭시S8` 등 스마트폰 안전성 강화를 위한 부품 전문팀 구성, 다중 안전 장치 적용, 전문가 자문단 구성 등 대비책도 제시했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갤러시노트7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면서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고 사장은 “대규모 재현 테스트 설비를 구축, 사용자 조건과 유사한 환경 아래에서 충·방전 테스트를 거쳐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면서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일각에서 제기한 삼성전자의 설계 결함과 소프트웨어(SW) 결함 주장을 일축했다.
고 사장은 “갤럭시노트7 설계 과정에서는 문제가 없었다는 게 자체 조사 결과”라면서 “이를 외부 조사기관과 학계로부터 검증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신뢰성과 객관성 제고를 위해 사지브 지수다스 UL 컨슈머비즈니스 사장, 케빈 화이트 엑스포넌트 수석 연구원, 홀거 쿤츠 튜브 라인란드 부사장 등 외부 전문 조사기관 관계자도 배석시켰다. UL과 엑스포넌트는 배터리와 제품 전반에 걸쳐 상세하게 분석했고, 튜브 라인란드는 배터리 물류 시스템과 폰 조립 공정 운영성 배터리 안전성을 집중 조사했다.
조사 결과 UL과 엑스포넌트는 삼성SDI 배터리의 우측 코너 눌림 현상과 중국 ATL 배터리의 비정상 융착돌기,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 조합 등을 발화 원인으로 지목했다. 튜브 라인란드는 제조 공정과 수송 과정, 배터리 물류 시스템 등에서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발화 원인 발표와 더불어 `8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와 다중 안전장치 도입 등 재발 방지책을 제시했다. 출시를 앞둔 갤럭시S8은 배터리 실장 공간 확보, SW 보호 알고리즘 강화 등으로 제품 기획 단계부터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겠다는 방침이다.
조직 차원으로는 기존 품질 보증 부서에 `부품 전문팀`을 신설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한다. 갤럭시노트7 발화 사태 관련 컨설팅을 진행한 리튬이온 배터리 전문가를 자문단으로 위촉한다.
고 사장은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경영 전반에 걸쳐 품질 최우선의 경영 체제를 강화, 새로운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찾은 만큼 친환경 처리 방안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품을 재활용하거나 아프리카, 개발도상국 등 플래그십 모델 판매가 활발하지 않은 지역의 국가에 저렴한 가격으로 재판매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시장에 판매된 갤럭시노트7은 총 306만대다. 이 가운데 96%가 회수됐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