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국가 핵심 시설에 양자암호통신망을 구축한다. 양자 센서 시제품을 상용화하고 양자컴퓨팅을 위한 `양자(Q)비트` 구현 소재도 개발한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자정보통신 종합계획(안)을 수립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종합계획은 양자 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 전략으로 양자암호통신, 양자센서, 양자컴퓨팅 등 주요 분야를 망라하고 세부 실행 방안을 담았다.
미래부는 2~3년 안에 완성할 단기 과제를 확정한 데 이어 10년 이상 중장기 과제도 추가할 계획이다.
양자암호통신과 관련해 국가망을 중심으로 상용화하는 등 초기 시장 창출 지원이 본격화된다.
미래부는 2020년까지 고도의 보안 수준이 요구되는 국가 핵심 시설과 데이터센터 전용회선 구간에 양자 보안망을 시범 적용한다.
2025년에는 행정망, 국방망, 클라우드, 금융망, 스마트 공장, 의료망으로 확대·적용한다. 2030년에는 `양자인터넷` 프로토콜과 중계기술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바탕을 둔 인프라를 구축한다.
양자센서는 2020년까지 시제품을 완성하고 앞으로 진단장비, 양자 암호통신망 등에 폭넓게 적용한다는 목표다.
현재 2진법 위주의 컴퓨팅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Q비트` 구현 단위 소재 개발 등 원천 기술 확보에 집중한다는 장기 계획이다.
미래부는 올 하반기에 `국가 양자컴퓨팅 발전 전략`을 추가 수립, 종합계획에 포함시킬 예정이다.
종합계획은 지난 2014년 범정부 차원에서 수립한 `양자정보통신 중장기 추진전략`을업그레이드한 것이다.
추진 전략이 핵심 기술 개발, 연구 기반 조성, 지속 성장 기반 마련 등을 포괄하는 내용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기본계획에는 세부 실행 방안을 적시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5000억원 규모의 양자정보통신 연구개발(R&D) 국책 과제 심사를 통과하고 예비타당성(예타) 본심사를 받고 있다.
5월로 예정된 예타 결과에 앞서 미래부가 종합계획을 준비하는 것은 예타 통과 이후 예산 확보와 동시에 당장 실행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양자정보통신에 산업계는 물론 정부 전 부처 차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국내 기술과 산업 기반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종합계획 수립과 동시에 미래부는 양자컴퓨팅 분야를 전담하기 위해 기초원천연구개발정책관 내 HPC팀을 신설하는 등 1차관, 2차관 휘하에 역할을 고루 분담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미국이 양자 선점을 위해 1조원 이상 투자하는 등 세계가 경쟁에 들어갔다”면서 “종합계획에 바탕을 두고 양자 암호통신, 센서, 컴퓨팅 등 3대 분야에서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자정보통신 종합계획(안)` 주요 내용>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