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를 선도한다]문재균 학부장 "학제 벽 부수는 AI 교육 학생 창의력도 키울 것"

문재균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학부장
문재균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학부장

“그동안 KAIST가 해 온 1개 분야 중심의 교육 행태를 부수고 학제 사이의 벽을 허문 교육 형태로 나아가야 합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그 근간이자 기본 철학이 될 것입니다.”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 학부장은 앞으로 KAIST의 교육이 AI를 닮은 형태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많은 접합점의 연결, 반복된 소통이 문 학부장이 밝힌 AI의 미덕이다.

“AI는 작고 수많은 노드(데이터 접합점)가 연결돼 계속해서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번뜩이는 지능 결과물을 냅니다. 이런 초연결, 반복된 대화에 앞으로의 시대정신과 교육정신이 담겨 있습니다.”

문 학부장은 “융합이 기본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특정 학문을 고집하면 큰 성과를 낼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각 학문의 분야가 마치 AI 노드처럼 협업할 때 KAIST 전체의 발전도 끌어낼 수 있다는 얘기다.

문 학부장은 AI 기술이 이런 학제 간 협업 관계를 고도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대부분의 학문이 AI 기술을 활용해 연구를 고도화하고 있고, 공학 경계를 넘어 인문학과 예술 분야에까지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끝내는 AI를 밑바탕으로 모든 학문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면서 “그동안 고학년, 대학원생 위주로 편성한 AI 커리큘럼을 1학년부터 적용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학업 초창기부터 AI를 배우고 다른 학문과의 벽을 허무는 자세를 체득할 때 협업·소통 인재로 성장할 수 있고, 이것이 바로 KAIST가 세계를 선도하는 길이 될 것입니다.”

문 학부장은 이런 AI, 협업 중심의 교육이 학생의 창의력을 성장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역설했다. 일찍 외부와 소통하고 학제가 아닌 문제 중심의 사고를 키우면 자연스럽게 창의 사고도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만드는 틀과 환경이 결국 학생들의 창의력을 성장시키고 더 많은 성과를 내게 할 원동력이 될 것”이라면서 “우리 비전인 '세계 10대 대학' 입성의 꿈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