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대기업위주 성장전략의 한계를 냉정하게 인식하고, 견실한 글로벌 중견기업을 중심에 둔 성장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서둘러야 합니다” 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은 차기정부 산업정책에 중장기적 비전이 결여 돼 있다며 중견기업 중심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5일 강호갑 중견련 회장은 언론 간담회를 통해 주요 대선 주자의 정책 공약에서 중견기업 육성과 발전 방안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데 아쉬움을 토로했다. 강 회장은 “수많은 정책 공약이 제시됐지만 중견기업에 특화된 내용은 물론, 중견기업이라는 표현조차 찾아보기 어렵다”며 “몇 가지 지표만으로도 쉽게 확인되는 중견기업의 사회, 경제적 기여도에 대한 최소한의 인식이 있었다면 이 정도까지 외면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중견기업은 전체 기업의 1%에 미치지 못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고용, 수출 등에서는 우리 경제의 중요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2015년 기준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출이 각각 11%와 6.8% 감소한 데 비해 중견기업 수출은 전년대비 3.1% 증가한 928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중견기업 숫자는 15년 기준 3558개로 전체 기업의 0.1%에 불과하지만 고용과 매출은 각각 전체 6%와 17%를 차지하고 있다.
강 회장은 “저성장 고착화를 우려할 만큼 지속돼 온 경제 위기 상황 아래서도 중견기업은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으로 수출을 확대해 왔다”며 “중견기업이 강한 나라가 경제에서도 강하다는걸 보고 있는 것처럼 중견기업을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중견련은 선순환적 기업생태계 조성과 우리 경제가 지속성장할 수 있는 방양을 위해 규제철폐, 노동개혁, 연구개발(R&D)투자 활성화, 명문장수기업 육성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사다리가 아직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꼬집었다. 여전히 기업생태계는 중소기업이 전체 사업자수 99%와 근로자수 88%를 차지하는 기형적 구조를 갖고 있다. 진입규제 등 보호주의 정책은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이어지지 못해게 하고 있으며, 정부의 성장사다리 구축 방안도 중소기업정책의 연장선으로 중견기업의 대기업 성장에는 한계를 나타낸다.
김경아 중견기업연구원 실장은 “중견기업 정책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일괄적 운용이 아니라 우선적 지원이 필요한 중견기업과 성장 가능성이 있는 중견 기업을 구분해 운용해야 한다”며 “영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은 이미 각 업종과 규모에 맞는 세세한 정책을 바탕으로 중견기업을 육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