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으로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한다...KAIST, 감정 파악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으로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한다...KAIST, 감정 파악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사람의 감정을 알아서 파악해 전달해 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됐다. 자신의 감정을 직접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알아서 인식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사회 전반에 엄청난 변화가 예상된다. 심리 치료를 비롯한 정신의학계의 발전은 물론 산업계에서도 인간의 감정선에 맞춰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팀이 생체 신호를 딥러닝 기술로 분석, 어떤 감정 상태인지 파악해 주는 '인간 감정 파악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조성호 교수가 개발한 '딥러닝 기반 인간 감정 파악시스템'의 감정 분간 모델을 도식화 한 그래프. 슬픔과 안정 상태를 따로 구별해, 현 상황에 가장 주도적인 감정을 가려낸다.
조성호 교수가 개발한 '딥러닝 기반 인간 감정 파악시스템'의 감정 분간 모델을 도식화 한 그래프. 슬픔과 안정 상태를 따로 구별해, 현 상황에 가장 주도적인 감정을 가려낸다.

이 시스템은 헤드폰 형태의 생체 신호 센서로 전두엽 부분에서 발생하는 뇌전도(EEG)를 검출하고, 혈류가 흐르는 귓불에 심장 박동 수 센서를 붙여서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감지한 생체 신호는 감정 유발성이나 흥분 상태를 각각 9단계로 나눠 딥러닝으로 분석한 뒤 행복, 흥분, 기쁨, 평온, 슬픔, 지루함, 졸림, 분노, 짜증 등 과학으로 정의된 총 12가지 감정으로 구분한다.

인간의 감정 체계가 복잡해서 한 번에 여러 감정을 느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 영향력이 가장 큰 감정 하나를 도출하도록 했다. 강하게 나타나는 감정 신호의 격차가 크지 않으면 딥러닝 모델에 벌점을 가하는 한편 자체 고안한 함수를 가미해 구분, 성능을 높였다.

조성호 KAIST w전산학부 교수(왼쪽), 김병형 박사과정
조성호 KAIST w전산학부 교수(왼쪽), 김병형 박사과정

이 기술은 아직 실험 단계여서 상용화로 이어지기까지는 추가해야 할 기술과 과제가 많다. 그러나 상용화에 성공하면 엄청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사람의 감정을 정밀하게 파악해 심리 치료 또는 행동 발달 교정에 활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시시각각 변하는 인간의 감정을 실시간 파악, 사용자 감정 상태에 맞춰 음악을 틀어 준다거나 따뜻한 차를 제공하는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상대방의 기분이나 감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소통 관계를 더 원활하게 이끌어 가는 것도 가능해지는 등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조성호 교수는 “생체 신호를 딥러닝 기술로 학습하고 분석해서 감정을 효과 높게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서 인간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