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소발전으로 부족한 전력과 온실가스 배출 해결

LNG저장고(출처:게티이미지)
LNG저장고(출처:게티이미지)

일본이 부족한 전력과 온실가스 배출 문제 해결책으로 수소발전을 들고 나왔다. 기존 액화천연가스(LNG)에 액화 수소를 일부 섞어 연료로 쓰는 발전 방식이다.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요다카코건설과 미쓰비시상사, 미쓰이상사, 닛폰유센은 2020년부터 수소를 수입해 LNG 발전소에 공급할 예정이다. 수소를 대량 구매하면 비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입 지역은 동남아시아 브루나이다. 연간 수입 물량은 액화수소 210톤이다.

수소는 연소 과정에서 온실가스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가 나오지 않는다. 발전 연료 비율을 수소로 일정 대체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자체를 줄일 수 있어 지구온난화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이들 기업은 액화 수소를 LNG에서 분리할 계획이다. 현재 브루나이에서는 브루나이에서는 미쓰비시상사가 LNG를 생산하고 있다.

치요다카세는 전용 시설을 건설해 수소 분리작업을 맡는다. 분리된 수소는 닛폰유센 선박을 이용해 일본으로 가져올 예정이다.

해당 수소는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에 있는 쇼와쉘석유 계열 화력발전소에서 천연가스에 섞어 사용할 계획이다.

액화수소 도입에는 최대 100억엔이 투자될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젝트 참여 기업은 2020년대 후반 수소를 이용한 발전 비용을 1㎾당 17엔 이하로 낮춰 10엔대 후반인 일반 화력발전소와 격차를 줄일 것으로 전망했다.

유창선 성장기업부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