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대비수익률 -2.0,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아
4일 오전 10시10분 현재 전일대비 1.83% 하락하면서 348,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CJ제일제당은 지난 1개월간 2.25% 하락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1.1%를 기록했다. 이는 음식료품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CJ제일제당의 월간 주가등락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음에도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적정수준을 유지한 셈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CJ제일제당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2.0을 기록했는데, 주가는 하락했지만 위험대비 수익률은 주요종목군 내에서 중간 수준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음식료품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0보다는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CJ제일제당이 속해 있는 음식료품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과 등락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업종등락률이 마이너스지만 시장보다는 탄력이 있고, 흐름도 좋다. |
|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오리온 | 2.3% | 3.9% | 1.7 |
농심 | 1.5% | 3.0% | 1.9 |
CJ제일제당 | 1.1% | -2.3% | -2.0 |
롯데제과 | 1.1% | -2.3% | -2.0 |
오뚜기 | 0.9% | -4.3% | -4.7 |
코스피 | 0.5% | -2.0% | -4.0 |
음식료품 | 0.6% | -1.5% | -3.0 |
관련종목들도 하락 우세, 음식료품업종 -0.89% |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하락이 우세한 가운데 음식료품업종이 0.89% 하락하고 있다.
오뚜기
| 744,000원
▼7000(-0.93%) | 롯데제과
| 194,500원
0 (0.00%) |
농심
| 327,000원
▼2000(-0.61%) | 오리온
| 87,000원
▼400(-0.46%) |
증권사 목표주가 469,400원, 현재주가 대비 34% 추가 상승여력 |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CJ제일제당의 평균 목표주가는 469,400원이다. 현재 주가는 348,000원으로 121,400원(34%)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케이프투자증권의 조미진 에널리스트가 " 바닥을 확인한 2분기. 그래서 더욱 기대되는 하반기, …"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500,000원을 제시했고, 신영증권의 김윤오 에널리스트가 " 하반기 이익 반등 전망 유효, 비록 2분기는 하회했지만, 이익이 곧 반등한다는 기존의 전망을 유지한다. 외국산 재료비가 줄어들 전망이고 판촉 경비는 CJ제일제당이 식품업계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500,000원을 제시했다.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전일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99주, 7,208주를 순매수 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방향성있는 매매를 하면서 30,699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매기를 떨어뜨리면서도 6,304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37,003주를 순매도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5%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CJ제일제당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25%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39%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34.96%, 외국인 38.85%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38.85%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34.96%를 보였으며 개인은 26.18%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외국인 비중이 41.37%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35.07%로 그 뒤를 이었다. 개인은 23.54%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으로 여전히 하락패턴을 보이고 있다. |
현재주가 근처인 357,500원대에 주요매물대가 존재. |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대 근방에 357,5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357,500원대는 전체 거래의 19.1%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지금부터 주가가 어느 한방향으로 방향을 잡으면 강한 추세적 지지 또는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53,5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가 방향을 잡으면 어느쪽으로도 지지 또는 저항매물대로 힘을 발휘할 수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353,50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2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353,500원대의 저항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