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들 가운데 변동폭 커도 수익율은 낮아
4일 오전 11시50분 현재 전일대비 5.41% 오른 351,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현대건설기계는 지난 1개월간 17.51% 하락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2.8%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현대건설기계의 월간 변동성이 상당히 커지면서 주가흐름도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나쁜 모습을 보였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현대건설기계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6.2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험요인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이 가장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코스피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8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좋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현대건설기계가 속해 있는 코스피업종은 기계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의 탄력은 약한 반면 하락시에도 지수보다 낙폭이 작다는 의미이다. |
|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현대건설기계 | 2.8% | -17.5% | -6.2 |
한미반도체 | 2.1% | 0.4% | 0.1 |
씨에스윈드 | 2.1% | -9.2% | -4.3 |
두산인프라코어 | 1.9% | 2.8% | 1.4 |
현대엘리베이 | 1.2% | 1.6% | 1.3 |
기계 | 0.8% | 0.0% | 0.1 |
코스피 | 0.5% | -1.9% | -3.8 |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동안 기계업종은 0.04% 하락중이다.
현대엘리베이
| 51,500원
▼800(-1.53%) | 씨에스윈드
| 26,600원
▼1000(-3.62%) |
두산인프라코어
| 8,450원
▲100(+1.20%) | 한미반도체
| 8,080원
▲50(+0.62%) |
증권사 목표주가 468,300원, 현재주가 대비 33% 추가 상승여력 |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현대건설기계의 평균 목표주가는 468,300원이다. 현재 주가는 351,000원으로 117,300원(33%)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골든브릿지투자증권의 김장열, 김태성 에널리스트가 " 주가 상승에 쉼표가 필요한 시점, ‘11년 동사의 중국 M/S가 11%일 당시 중국시장에서만 연간 1조원 가까운 매출을 달성한 전례가 있다. 시장규모 면이나 성장성 측면이나 압도적인 곳이 바로 중국 시장이다. 따라서, 중국 시장에서의 M/S 회복이 동사의 중장기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라며 투자의견 Hold(Initiate)에 목표주가: 430,000원을 제시했고, 하이투자증권의 최광식 에널리스트가 " 2Q17도 사실상 좋았고, 여기저기 다 좋은 현대건설기계, …" (이)라며 투자의견 HOLD(신규)에 목표주가: 450,000원을 제시했다.
외국인/개인 순매수, 기관은 순매도(한달누적)
8월31일부터 전일까지 기관이 2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보였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수 우위를 유지하면서 7,795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순매수량을 늘리며 100,259주를 순매수했다. 하지만 기관은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108,054주를 순매도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1.32%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현대건설기계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1.32%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4.39%를 나타내고 있다.
기관투자자의 거래참여 높아, 거래비중 34.93%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50.92%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34.93%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14.13%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46.87%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37.22%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5.9%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는 추세 변곡점에 도달하고 있다. |
주요 매물구간인 371,5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371,5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371,500원대는 전체 거래의 21.5%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44,0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크기때문에 향후 주가가 방향을 잡으면 어느쪽으로도 지지 또는 저항매물대로 힘을 발휘할 수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전개하고 있는데요, 위로 제1매물대 저항구간인 371,500원대까지는 아직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아래로 제2매물대 지지대인 344,000원이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은 추가조정시에 동가격대에서의 지지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2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344,000원대의 지지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위치에서 매물부담을 고려해보면, 344,000원대의 지지가능성과 371,500원대의 저항가능성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