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지수와 비교해서 위험대비 수익률 좋다고 할 수 없어
6일 오후 1시25분 현재 전일대비 2.23% 오른 11,450원을 기록하고 있는 네오위즈는 지난 1개월간 6.15%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1.9%를 기록했다. 이는 디지털컨텐츠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네오위즈의 월간 변동성이 작았던 만큼 주가등락률도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네오위즈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3.2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주가가 약세를 보였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게다가 디지털컨텐츠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인 4.3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없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네오위즈가 속해 있는 디지털컨텐츠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동업종에 탄력이 붙으면서 지수대비 초과상승했다는 의미이다. |
|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파티게임즈 | 3.5% | -26.1% | -7.4 |
룽투코리아 | 3.4% | 4.0% | 1.1 |
미투온 | 2.3% | -1.7% | -0.7 |
네오위즈 | 1.9% | -6.2% | -3.2 |
넷게임즈 | 1.6% | 14.6% | 9.0 |
코스닥 | 0.7% | 0.4% | 0.5 |
디지털컨텐츠 | 1.0% | 4.3% | 4.3 |
관련종목들 혼조세, 디지털컨텐츠업종 +0.46% |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나 디지털컨텐츠업종은 0.46% 상승중이다.
파티게임즈
| 10,200원
▼150(-1.45%) | 룽투코리아
| 10,050원
▼250(-2.43%) |
미투온
| 8,250원
0 (0.00%) | 넷게임즈
| 2,165원
▲15(+0.70%) |
영업이익률 현재 2.72%로 업종평균 수준. PBR은 0.91로 다소 낮은편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네오위즈는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
| 네오위즈 | 넷게임즈 | 미투온 | 파티게임즈 | 룽투코리아 |
ROE | -2.9 | - | 1.0 | -18.4 | -5.1 |
PER | - | - | 587.0 | - | - |
PBR | 0.9 | 12.0 | 5.6 | 1.2 | 2.0 |
기준년월 | 2017년6월 | | | 2017년6월 | 2017년6월 |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전일 기관이 9,955주를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59,879주를 순매도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방향성있는 매매를 하면서 68,120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매수반전의 모습을 보이며 64,612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132,732주를 순매도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34%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네오위즈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34%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3.97%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17.67%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70.75%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7.67%를 보였으며 기관은 11.57%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70.37%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20.36%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9.25%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이며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약세국면에 머물러 있다. |
주요 매물구간인 13,3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13,3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13,300원대는 전체 거래의 19.8%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14,0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13,30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1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13,300원대의 저항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