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된 금융서비스다. 모바일결제, 송금, 펀딩, 자산관리 등 고객 서비스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대중화된 간편 결제(페이)를 비롯해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같은 인터넷전문은행도 핀테크 적용 사례에 해당한다.
금융 데이터 분석, 금융 소프트웨어(SW) 개발 등 기업 관련 분야도 비약 발전했다. 로보어드바이저에 적용된 알고리즘 개발, 블록체인의 분산원장 기술, 스마트계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핀테크는 전통의 금융 강국인 영국과 미국이 먼저 도입했다.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 발달을 통해 금융소비자 편익을 높이려는 시도가 스타트업 중심으로 시작했다.
간편결제, 온라인 신용대출 서비스가 등장했다. 신용카드 없이 개인 구매 이력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공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용구매를 지원하는 서비스까지 나왔다.
컨설팅기업 KPMG가 조사한 2016년 세계 100대 핀테크 기업도 미국(25개)과 영국(12개)이 가장 많다. 호주(9개), 중국(8개) 등이 뒤를 잇는다. 한국은 100대 기업에 하나도 들지 못했다.
중국 알리바바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은 100대 핀테크 기업 1위에 꼽혔다. 앤트파이낸셜은 머니마켓펀드(MMF)인 '위어바오'를 출시, 세계 1위 MMF를 운용하고 있다. 운용자금만 1656억달러다.
선진국에 비해 금융 인프라가 약하던 중국은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기업을 중심으로 핀테크를 확산시켰다. 중국 정부는 사전 규제보다 사후 보완조치로 신규 서비스 확대를 지원했다.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이 바로 핀테크 서비스 기반이 됐다.
2차원 정보에 데이터를 담은 QR코드를 널리 사용했다. 기술 구현이 어렵지 않고 보안성도 낮은 기술이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간편해 노점상과 재래시장에까지 확산됐다.
우리나라는 2015년께부터 핀테크 확산이 시작됐다. 전통의 금융 산업과 ICT 기업 각각에서 핀테크 가능성에 주목했다. 금융 당국도 핀테크 육성을 위한 규제해소 및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대기업이 앞 다퉈 간편결제시장에 진출했다. 삼성전자 같은 휴대폰 제조사와 SKT, KT 같은 통신사 등이 모바일 전자지갑 서비스 등을 출시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도 간편결제 서비스 등을 내놓았다. 기존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을 활용한 방식이다. 은행과 증권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나왔다.
핀테크 기반 스타트업도 다양하게 등장했다. 2013년 설립된 스타트업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는 휴대폰 번호만으로 계좌 이체를 할 수 있는 간편 송금으로 돌풍을 일으켰다. 누적 송금액도 5조원을 훌쩍 넘겼다.
투자자와 대출자를 직접 연결하는 개인간거래(P2P) 금융 산업이 급성장했다. P2P 가이드라인이 나오기 전에는 P2P대부업으로 등록한 기업만 100개가 넘은 것으로 보고됐다.
9월 현재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소속 핀테크기업은 200개가 넘는다. 협회에 소속되지 않은 스타트업까지 포함하면 300개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유신 서강대 교수는 “간편결제, P2P대출, 로보어드바이저, 뱅킹까지 권역별로 성공모델이 한두 개 나오는 것은 발전 가능성이 있다”면서 “비대면 규제 해소와 함께 보안 산업을 키워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도 '손 안의 시장' 기술이 구현됐다. 현재 서비스는 모바일 서비스에 금융이 들어온 차원이다. 인터넷전문은행 등은 일본에서도 이미 수년 전에 서비스가 도입됐다.
그다음으로 기업별 비즈니즈 모델 혁신이 필요하다. 단순 정보기술(IT) 서비스 접목을 넘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같은 지능정보기술이 접목된 발전이다.
전문가들은 빅데이터 적극 활용에 주목하고 개인정보 침해 없는 빅데이터 이용을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개인정보보호라는 원론에 그친 대원칙만 강조되면서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기술 개발이나 비즈니스모델 논의까지 덩달아 늦어졌다.
또 규모의 경제를 활용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의 장점은 빠른 속도와 큰 시장이었다. 기술력 부문에서는 한국이 뒤쳐져 있지 않다. 규제가 해소되면 글로벌 진출 등의 기회가 남아있다.
2016년 성장세 정점을 찍은 것으로 여겨지던 핀테크 투자도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벤처투자조사업체 CB인사이트에 따르면 2016년 4분기에 21억5800만달러 투자로 바닥을 찍은 핀테크 투자는 올해 2분기에 51억9300만달러를 기록하며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정 교수는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이 규제가 촘촘하지 않아 빨리 움직이면서 수익모델을 만드는 것이 용이했다”면서 “금융은 무형 서비스인 만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실물보다 더 빨리 움직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명희 경제금융증권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