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블록버스터 신약"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 가동

정부가 2025년 우리나라의 세계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5%까지 끌어올리는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를 가동한다.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 5개를 개발하고 12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올해에만 3조1139억원을 쏟아붓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제29회 생명공학 종합 정책 심의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2017~2026년)'을 심의·의결했다. 생명공학육성법에 따른 10년 단위, 최상위 법정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글래드호텔에서'제29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를 개최했다. 유영민 장관이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글래드호텔에서'제29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를 개최했다. 유영민 장관이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바이오경제 혁신 전략은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고부가가치 창출 미래형 신산업 발굴·육성' 일환으로 추진된다. 과기정통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등 8개 부처가 참여한다.

우리나라의 글로벌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현재 1.7%(생산 기준 27조원)에서 2025년 5%(생산 기준 152조원)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부 목표로 △국산 신약 개발 △일자리 창출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 제고 △사회문제 해결 기여를 제시했다.

글로벌 신약 후보 물질을 100개 발굴한다. 2026년까지 1조원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 5개를 개발한다. 바이오 기술 기반 신규 일자리는 2015년 2만6000개에서 2025년 14만5000개로 늘 것으로 기대했다. 기술 수출액 달성 목표는 2025년 27억3200만 달러다. 사회문제 해결 사례를 1만 건 창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글래드호텔에서 '제29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를 개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글래드호텔에서 '제29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를 개최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3대 전략, 9대 중점과제를 세웠다. R&D 체질을 '세계 최초 지향'으로 바꾼다. 바이오 분야는 R&D 승자가 시장을 선점한다는 점을 감안했다. 합성생물학,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교정 등 유망 분야에서 세계 최초 기술에 도전한다.

R&D를 경제 효과로 연결하기 위해 창업과 기술사업화를 촉진한다. 바이오기술(BT)과 정보통신기술(ICT), BT와 금융 등 융합 인력을 양성한다. 전국에 산재한 바이오 클러스터는 지역 별로 특화한다.

규제 혁신은 R&D와 보조를 맞춘다. 제품 개발부터 식약처 등 규제기관이 함께 참여, 인허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규제 지도를 구성, 관리해 규제 장벽을 상시 개선한다. 윤리·규제 문제가 항상 따라붙는 바이오 시장 특성을 감안했다.

'바이오 정보 통합 서비스'는 올해부터 구축한다. 연구지원 정보, R&D 성과,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초고속통신망이 ICT 산업 부흥 기반을 제공했듯, 바이오 기술·산업 발전에도 기술·자원·정보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봤다.

정부는 '2017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계획'도 의결했다.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의 세부 이행계획이다. 앞서 제시한 3대 전략, 9대 중점 과제를 위한 R&D, 인프라, 인력 양성에 올해 3조1139억원을 투자한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은 우리에게 혁신성장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바이오는 미래 일자리 창출과 시장 확대가 유망한 중요한 축”이라면서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에 기여하도록 부처 간 협업, 목표 달성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