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00만 년 전 지구에 떨어진 거대운석의 충돌 지점이 몇백㎞만 달랐어도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도호쿠대 연구팀이 거대운석 충돌 때 나온 매연의 양을 슈퍼컴퓨터로 분석하고 당시 배출된 양 만큼의 매연이 나올 수 있는 지층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는 연구논문을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고 10일 보도했다.
소행성 충돌로 불리는 직경 약 10㎞의 거대운석은 66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 반도 부근에 떨어졌다. 거대운석 충돌로 땅속에서 방출된 매연과 유산염 알갱이가 태양빛을 차단했고, 지구 온도는 급격히 떨어져 공룡이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공룡과 함께 익룡류, 암모나이트 등 전체 생물의 75% 가량이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매연은 땅속의 유기물이 연소해 발생했다. 도호쿠대 연구팀은 거대운석 충돌로 발생한 매연을 기상청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분석했고, 그 결과 230~2300 테라그램(테라는 1조배)의 매연이 고도 1만m 이상의 성층권을 덮었고, 이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8~11도 내려간 것으로 추산했다.
이어 이 정도 규모의 매연을 방출할 수 있는 지층이 얼마나 있는지 분석한 결과, 거대운석 낙하지점을 포함해 지구의 13%에 불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지구 87%의 어딘가에 거대운석이 떨어졌다면 공룡 멸종은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었던 셈이다.
연구팀은 만약 거대운석의 충돌 지점이 달랐다면 공룡이 지금도 번성해 지구의 역사도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
임동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