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팀, 골다공증 치료 꿈의 물질 개발

국내 연구진이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는 후보 물질을 개발했다.

민병무 서울대 교수팀은 골 형성 촉진, 골 흡수 억제를 동시에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하고 골다공증 회복 과정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골다공증은 뼈를 만드는 활동과 흡수·소실 과정의 균형이 맞지 않아 생긴다. 골량이 감소해 골절 위험이 높아진다. 가장 흔한 대사성 골 질환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에서만 50세 이상 남성 12%, 여성 33%가 앓고 있다.

아직 완치 약물이 없고, 골 소실을 지연시키는 약물만 있다. 이미 발생한 골 소실을 회복할 수 없고 장기간 사용하면 턱뼈 괴사 같은 부작용이 있다.

비트로넥틴 유래 펩타이드가 생체에서 골형성 및 골흡수에 미치는 효과
비트로넥틴 유래 펩타이드가 생체에서 골형성 및 골흡수에 미치는 효과

연구팀은 사람의 혈청과 뼈 조직에서 새로운 물질을 찾았다. 뼈의 생리 과정, 세포 거동에 관여하는 단백질(비트로넥틴)에서 12개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기능성 중합체(펩타이드)를 발굴했다.

연구팀은 이 기능성 펩타이드가 골다공증을 치료하는 과정도 밝혔다. 펩타이드는 뼈를 생성하는 '골모 세포'의 특정 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한다. 골 형성을 촉진한다.

뼈 조직을 파괴하고 흡수하는 파골 세포 분화는 억제한다. 기존 파골세포의 골 흡수 능력도 감소시킨다.

효과는 기존에 가장 강력한 골재생 유도 물질로 알려진 골형성단백질-2(BMP-2)에 버금간다.

민병무 서울대 교수
민병무 서울대 교수

민병무 교수는 “꿈의 물질로 알려진 골 형성 촉진·골 흡수 억제 동시 유도 펩타이드를 개발하고 회복 과정을 면밀히 규명했다”면서 “골다공증, 치주질환 같은 용해성 골 질환 치료에 초석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사멸 및 분화'에 실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 보건복지부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