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환경안전포럼' 개최···미세먼지 저감대책 마련

경기도는 미세먼지 농도의 실질적 감축을 위한 영세 사업장 대기배출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안을 마련하고자 '경기 환경안전포럼'을 1일 개최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R&DB센터 대교육실에서 진행된 이번 포럼에는 도 및 시·군 공무원과 사업장 대표, 연구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미세먼지 저감 방향을 논의했다.

경기도 '환경안전포럼' 개최···미세먼지 저감대책 마련

신영수 환경부 기후미래전략과 사무관이 '4차 산업혁명과 환경정책 방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신 사무관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무인항공기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요소기술을 환경분야에 접목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는 “드론, 로봇 등을 도입한 입체적 상시 환경감시망,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으로 감시를 효율화하고 환경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순태 아주대 교수는 “현황파악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의 기여도를 분석해 개선농도의 구체적 수치를 목표수준으로 정할 필요가 있다”며 “국지적인 고농도 지역 관리를 통해 시민에게 노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정책이 실효성 있다”고 주장했다.

시흥스마트허브에서 반도체용 인쇄회로기판(PCB)을 생산하고 있는 전용배 대덕전자 과장도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QR코드 등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대기방지시설 관리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그는 “대기방지시설은 환경기술인이 관심을 갖고 적산전력량, 차압, 세정수 교체 등 주요항목의 일일점검만으로도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성남 경기도 환경안전관리과장은 “1년에 1~4회의 단속으로는 대기방지시설의 유지관리 상황이 수시로 변해 오염원을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영세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실질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효과적 정책수단을 강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