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세계 최초 국제표준 기반 5G 시연 성공

SK텔레콤과 에릭슨 연구원이 세계 첫 5G 국제표준 기반 데이터통신 시연을 하고 있다.
SK텔레콤과 에릭슨 연구원이 세계 첫 5G 국제표준 기반 데이터통신 시연을 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에릭슨·퀄컴과 세계 첫 5세대(5G) 이동통신 국제표준 기반 데이터통신 시연을 성공했다.

앞서 이동통신 국제표준화단체 3GPP는 20일(현지시간) 포르투갈 리스본 총회에서 NSA(Non-Standalone, LTE·5G 융합) 기반 5G 주요 표준을 최종 승인했다.

지금까지 국내외 이동통신사·장비 제조사가 5G 시연을 성공한 적은 많지만 확정된 국제 표준을 이용한 시연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은 21일 에릭슨·퀄컴과 5G 국제표준에 맞춰 공동 개발한 기지국과 단말을 활용해 초고속 데이터통신과 0.001초 초저지연 데이터전송 등 5G 통신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5G 무선접속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손실률을 최소화하는 '채널 코딩 기술', 초고속데이터 전송과 이동성을 확보하는 '빔포밍' '빔 트래킹' 등 기술을 활용했다. 이 기술은 모두 3GPP가 글로벌 5G 표준으로 채택했다.

3GPP는 5G 국제표준 초안을 이달 초 회원사에 미리 공개했다. SK텔레콤 실험은 이 자료를 참고한 것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3사는 지난해 12월 국제표준 규격 장비와 단말 개발에 착수하기로 합의했다”면서 “회원사에 공개된 국제표준을 토대로 기술을 개발해 표준 확정과 동시에 기지국·단말 등을 빠르게 업그레이드해 가장 빨리 시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5G 시연은 사업자별로 마련한 자체 규격을 기반으로 이뤄졌다.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한 이번 실험과 결정적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3사는 국제 표준 기반 5G 장비를 을지로·분당 등 SK텔레콤 5G 테스트필드에 설치해 국내 상용 환경에 맞게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추가 5G 국제표준 마련에도 협력한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국제표준 기반 5G 시연 성공은 에릭슨·퀄컴 등 글로벌 ICT 선도 기업과 이뤄낸 세계적 성과”라며 “5G 조기 상용화에 나서 5G를 통한 산업, 사회, 일상의 변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